[@뉴스룸/주성원]“기술 인재 키우자”… 어느 中企의 노력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2월 2일 03시 00분


주성원 산업부 차장
주성원 산업부 차장
지난해 매출 300억 원을 올린 중소기업 K사. 정밀한 기계를 만드는 기업 특성상 연구 인력과 엔지니어의 상시 충원은 필수다. 그러나 중소기업인 탓에 신규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회사 대표 A 씨는 “최근에도 사내 연구소에 근무할 엔지니어를 뽑으려다 대기업과의 연봉 차이 문제가 불거져 실패했다”며 “그나마 뽑아놓아도 1, 2년 만에 조건이 좋은 곳으로 이직하는 경우가 다반사”라고 말했다.

기술과 연구 개발 인력의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단지 이 회사만의 문제가 아니다. 제조업과 정보기술(IT) 분야 대부분의 국내 중소기업이 안고 있는 난제다.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인력 통계는 이런 현실을 뒷받침한다. 지난해 산업기술인력 부족률(적정 인원보다 모자라는 인력 비율)은 근로자 500명 이상 대기업이 0.6%인 데 비해 300명 미만 중소기업은 3.3%나 된다.

산업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중소기업 성장 방안 모색을 위한 인력 분야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 근로자 중 박사학위 소지자는 4.2%에 불과하다. 반면 미국에서는 과학 및 공학 인력의 49.2%가 근로자 500명 미만 기업에서 근무한다. 이 가운데 47.8%가 박사다.

그런데 문제가 하나 더 있다.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우수한 인재들이 정작 대기업을 가려고 해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한정된 대기업의 채용 문을 통과하기 위해 취업 재수, 삼수를 하는 청년들이 넘친다.

산업연구원은 이런 고급 기술 인력을 자연스럽게 중소기업으로 돌리는 방향으로 정부 고용 정책을 바꿔 가야 한다고 제안한다. 중소기업의 기술 개발 성과를 연구자에게 일정 부분 귀속시키는 ‘직무 발명 보장제도’ 도입이 한 예다. 중소기업과 정부, 근로자가 분담해 적립한 돈을 나중에 장기 재직 근로자에게 주는 금융상품을 만들 수도 있다. 정부가 추진하려는 직업학교인 ‘고등전문대학’ 신설도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중 하나다.

그러나 정책 변화보다 더 시급한 것은 중소기업계의 자구 노력이다. 실제로 이미 산업 현장에는 많은 시도가 나오고 있다.

기계 설비 생산기업 Y사는 과거에 K사와 비슷한 어려움을 겪었다. 이 회사는 몇 년 전부터 아예 자체 기술 교육 기관을 설립해 인력을 충원해오고 있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D사는 사내 교육에 참여한 직원들에게 휴가와 상품권으로 보상해 준다. 다른 기업의 인재를 빼오는 것보다 필요한 인재를 키우는 것이 더 낫다는 사장의 지론 때문이다. 이 회사의 이직률은 업계 평균보다 15% 이상 낮다.

구직자의 눈높이와 현실이 다른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기술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묘안은 당장 없다. 그렇다고 손을 놓고 있을 수만도 없다. 아쉬운 쪽은 중소기업이다. 정책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도 필요하지만 중소기업 스스로 고급 인력을 끌어들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

주성원 산업부 차장 swon@donga.com
#중소기업#산업연구원#기술 인력 부족 문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