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종 9년(1409년) 11월 14일, 사간원에서 태종에게 올린 시무책의 한 구절이다. 당시에 말(馬)이 군사력의 중요한 요소였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말의 원활한 확보가 문제였을 것이다. 제주도의 ‘양이목사본풀이’는 바로 그러한 문제를 잘 보여주고 있는 신화이다.
제주에 탐라국이 있던 시절, 양씨 중의 한 사람이 서울 상시관의 명을 받아 목사벼슬을 하였다. 그 시절 제주에서는 일 년에 한 번 백마 백 필을 서울에 진상하였다. 양 목사도 한 번, 두 번, 세 번까지는 곱게 진상을 올렸다. 그런데 네 번째 진상을 올릴 때 갑자기 백마 백 필을 가지고 싶은 탐심이 일었다. 그래서 상시관에게 우선 진정부터 올렸다. “백마 백 필을 진상 올리면 제주 백성이 곤경에 빠져 어느 마장이나 탄식과 근심을 아니 할 수 없습니다.” 그러고는 마장의 마부들을 불러 이번부터는 자기가 직접 상시관에게 진상을 바치겠노라고 하였다.
서울에 진상을 바치러 간 양 목사. 한양 고을을 돌아다니면서 백마 백 필을 다 팔고, 그 돈으로 물품을 사 배에 싣고 제주로 돌아와 팔았다. 그러기를 한 번, 두 번, 세 번. 상시관에서 왜 진상을 하지 않느냐고 독촉하지 않고 곱게 지나가자 백마 삼백 필은 모두 양 목사의 차지가 되었다.
상시관에서는 금부도사와 자객을 시켜 당장 양 목사의 목을 베어 올리라고 명령을 내렸다. 눈치 빠른 양 목사. 이방과 형방을 불러 가장 빠르고 좋은 고 사공의 배를 준비시켰다. 도망을 갈 참이었던 것이다.
양 목사를 태운 고 사공의 배가 울돌목에 이르렀을 때였다. 배 한 척이 마주 달려와서는 고 사공의 배에 탁 붙었다. 금부도사와 자객이 탄 배였다. 금부도사는 창검을 꺼내들고 자객은 칼을 휘두르며 양 목사에게 큰 범같이 덤벼들었다. 그러나 양 목사가 큰 칼을 한 번 휘두르니 자객의 머리는 간 곳 없었다. 날랜 금부도사도 벽력같은 소리를 질렀지만 양 목사한테 무릎을 꿇고 말았다. 양 목사가 호령하였다.
“모든 백성 중에 특히 불쌍한 제주 백성은 일 년에 한 번 백마 백 필씩 진상을 올리니, 임금의 배가 얼마나 큰 배이기에 일 년에 백마 백 필씩을 먹어 치워 버리느냐? 임금이 먹는 백마 백 필 진상을 나도 한 번 먹어보려고 입을 벌려 먹으려는데, 제주의 불쌍하게 굶는 백성을 생각하니, 백마 백 필을 다 삼키지도 못하고 목에 걸려 목 아래로 내려가지도 않았다.”
그러나 양 목사의 때늦은 호령과 기개도 잠깐. 무릎을 꿇고 있던 금부도사가 갑자기 펄쩍 뛰어서는 양 목사의 상투를 잡고 감태같이 흐트러진 머리를 돛대 줄에 꽁꽁 묶어 맨 뒤 고 사공에게 말했다. “돛대 줄을 당겨라.” 양 목사는 갑자기 돛대에 매달린 몸이 되었다. 금부도사가 창검을 한 번 휘두르니 양 목사의 육신은 청룡 황룡 백룡으로 변하여 깊은 물속 용왕국으로 들어갔다. 육신이 떨어져나간 양 목사. 고 사공에게 마지막 소원을 말했다. “탐라 양씨가 악기를 울리며 나의 슬픈 역사를 풀어주면 우리 자손들을 만대까지 유전시켜 주마.”
그 후로 제주에서는 백마 백 필을 모아 진상하는 일을 모면하게 되었다. 한 사람의 비극적 희생이 가져온, 결과의 위대함과 숭고함을 잘 보여주고 있다. 관리로서 가장 큰 영예, 그것은 자손만대 조상신으로 모셔지는 일일 것이다. 그가 백성을 위해 진정으로 봉사했다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