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서/강수진]외딴방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6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강수진 문화부장
강수진 문화부장
낮엔 구로공단에, 밤엔 영등포여고 야간 산업체특별학급에 다니던 여공은 주산 수업도, 부기책도 싫었다. 새침한 주간 학생한테 체육복 도둑으로 몰리자 무단결석했다. 열흘이 지나 노트 빼곡히 써 온 반성문을 본 담임선생님은 말했다. “너 소설을 써 보는 게 어떻겠니.”

주말에 신경숙 작가의 자전적 소설 ‘외딴방’(1995년)을 다시 꺼내 읽었다. 표절 의혹이 제기된 책들이 아닌 ‘외딴방’을 뽑아 든 건, 등단 30년과 작가인생 최대 위기를 동시에 맞고 있는 그의 초심(初心)을 보고 싶어서였는지 모르겠다.

과거는 현재형으로, 현재는 과거형으로 독특하게 쓴 이 작품엔 그의 습작 시절 모습이 담겨 있다. “주산시간에 국어 노트 뒷장을 펴고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옮겨본다. … 이제 열일곱의 나는 컨베이어 위에서도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노트에 옮기고 있다.”

신 씨가 필사(筆寫)를 통해 문체를 단련한 건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수많은 글쓰기 책에서 그는 필사의 모범 사례로 꼽힐 뿐 아니라, 작가 스스로도 산문집 ‘아름다운 그늘’에서 필사의 힘을 밝혔다.

“…그냥 눈으로 읽을 때와 한 자 한 자 노트에 옮겨 적어볼 때와 그 소설들의 느낌은 달랐다. 소설 밑바닥으로 흐르고 있는 양감을 훨씬 더 세밀히 느낄 수가 있었다. 그 부조리들, 그 절망감들, 그 미학들.”(‘필사로 보냈던 여름방학’)

표절 의혹이 불거진 직후 적지 않은 작가들이 그를 감쌌다. 습작 과정에서 충분히 생길 수 있는 일이라는 거다. 하지만 신 씨는 의혹 제기 하루 만에 너무도 단호하게 모르는 작품이라고 했다. 긴 시간 필사해 온 만큼 혹시나 하며 스스로를 되돌아보려는 최소한의 자성은 없었다. 독자들의 분노를 불러일으킨 건 표절 논란 그 자체보다 오히려 그 이후에 보인 신 씨의 이런 태도 같다. ‘전혀 모르는 일’ ‘믿어 달라’는 그동안 너무 많이 속아 온(?) 얘기니까. 그나마도 창비를 통한 ‘대리 발표’였다.

창비는 한술 더 떴다. “(표절 논란 대목을) 굳이 따진다면 신경숙 작가가 오히려 더 낫다”는 입장을 발표해 되레 ‘오만한 갑(甲)’의 이미지마저 덧씌웠다.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표절 의혹 대목을 비꼬는 수많은 패러디가 등장했다. 급기야 창비는 “본사 문학출판부가 내부 조율 없이 적절치 못한 보도자료를 냈다”고 하루 뒤 다시 입장을 발표했지만 ‘사과인 듯 사과 아닌’ 해명은 역효과만 불렀다. 이젠 백낙청 창비 편집인의 사과를 요구하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위기관리 측면에서 본다면 창비의 대응은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구속까지 불러온 ‘땅콩 회항’의 사과문 이후 최악으로 꼽힐 것 같다. 당시 대한항공은 사과문에서 한 문장만 빼곤 조현아 전 부사장을 두둔하는 변명으로 일관하다 사태를 키웠다.

위기관리 전문가들에 따르면 잘못된 사과엔 유형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변명하는 사과 △거짓과 은폐가 포함된 사과 △때늦은 사과 등이 꼽힌다. 미국의 한 심리학자는 ‘미안해’와 절대 함께 사용해선 안 되는 두 단어로 ‘…그러나(but)’와 ‘그랬다면(if)…’을 들었다. 물론, 공통적으로 꼽는 사과의 필수 요건은 진심이다. 지금이라도 신 씨가 나서서 해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가는 것과 반대로 그의 침묵은 길다.

다시 ‘외딴방’. 신경숙은 이 소설의 첫 문단과 마지막 문단을 똑같은 질문으로 시작하고, 끝을 맺는다. “…글쓰기를 생각해본다, 내게 글쓰기란 무엇인가? 하고.”

이제는, 대답해야 할 때다.

강수진 문화부장 sjkang@donga.com
#외딴방#신경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