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읽는 동아일보]‘총선 선거구 획정’ 심층분석 돋보여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9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총선 선거구 획정 폭풍전야’ 기사(12일 자 A1·4·5면)는 전국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을 앞두고 예측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를 자세히 분석해 그동안 가졌던 궁금증을 풀어 줬다.

선거구 인구를 어느 시점으로 잡느냐를 비롯해 현재 300명인 의원 정수 변동과 비례대표 의석 조정 등 변수 별로 짚어 줘 읽으면서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7일부터 3일간 전국을 순회한 현장 설명회에 동행하면서 드러난 지역 민심과 선거구 조정에 따른 여야 중진의 입지 등 정치적 역학 구도까지 짚어 준 부분이 돋보였다. 신문이 가진 심층 보도의 장점을 잘 살린 기사라고 평가하고 싶다.

지역사회로 범위를 좁힌 후속 보도를 부탁하고 싶다. 예를 들어 5개 시군이 한 개 선거구로 묶인다면 과연 ‘지역 민심이 중앙 정치권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든다. 또 여러 지역이 묶이다 보면 공약 우선 이행 순서를 놓고 갈등과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런 문제점을 예측해 보고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해 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김 수 영 강원 춘천시

지적장애 범죄인 관리대책 없다니…

‘27세에 전과 36범 된 지적장애녀’ 기사(9일 자 A16면)는 2005년 특수절도죄로 처음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이래 10년간 36범을 저지른 지적장애 범죄인을 다뤘다. 이쯤 되면 언제라도 같은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걸어 다니는 범죄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럴 수밖에 없었던 당사자도 문제이지만 이를 알면서도 방치할 수밖에 없는 우리 사회도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석방되면 별 도리 없으니 또 같은 범죄를 저지를 텐데 막을 방법이 없다니 답답하다.

정신장애 범죄인이 연간 6000명에 이르며 그것도 증가 추세인데 대책이 없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지적장애 범죄인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대책이나 정부의 지원을 받는 전문기구의 설치가 시급하다고 본다.

강 신 영 서울 송파구

38억 날린 ‘말로만 전자정부’ 한심

‘38억 들인 ‘모바일 전자정부’, 사용 공무원은 0.95%뿐’(10일 자 A12면) 기사를 읽고 행정자치부의 무능함에 놀랐다. 아마도 시스템이 쉽지 않고 불안정하고 보안환경에 문제가 있어서 사용자가 적고 이런 이유로 많은 모바일 사업이 예산 따내기용으로 전락됐다고 생각한다.

행자부가 만든 모바일 정부 시스템은 안드로이드에서만 구동이 가능하며 아이폰의 운영 소프트웨어인 iOS에서는 쓸 수 없다. 모든 스마트폰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행자부 지침이 지켜지지 않는 것이다. 최근 모바일 지급 결제 서비스 중심으로 핀테크(Fintech·금융기술)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하지만 핀테크 산업의 발전과 진화는 사용하기 쉽고 또 정보보호라는 조치가 동반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행자부가 자체 개발한 앱들이 무슨 이유로 실패했는지 심도 깊게 다루지 않은 점은 아쉬웠다.

이 방 훈 제주 제주시

‘초호화 생일파티’ 대안도 제시했으면

‘왕자-공주인 듯…수백만 원 생일파티’ 기사(9일 자 A16면)는 현재 초등학생의 비뚤어진 생일파티 모습을 꼬집었다. 초등학생 아들 생일파티에 70만 원을 지출하고 몇몇이 돈을 모아 유명 브랜드 운동화를 생일선물로 주고 생일파티 참석자에게는 답례품을 준다는 현 세태에 할 말이 없었다. 최근에는 수영장이 딸린 호텔이나 회원제 시설에서 출장 연회 업체를 부르는 수백만 원짜리 생일파티 패키지도 있다고 하니 가관이 아닐 수 없다.

이 기사는 ‘내가 바뀌면 세상이 바뀐다’는 큰 주제 아래 우리 주변의 허례허식을 지적하는 연재물이다. 그래서 그런지 현 세태의 일부 모습만 비추었을 뿐 다른 대안은 제시하지 않았다. 긍정적인 생일파티 모습의 기사를 같이 담았다면 더 많은 공감을 이끌어 내지 않았을까 싶다.

이 현 주 경기 부천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