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여름가을 집도 없이 짚으로 이엉 엮은 초분 옆에 살던 버버리, 말이라곤 어버버버버밖에 모르던 그 여자는 동네 초상이 나면 귀신같이 알고 와서 곡했네 옷 한 벌 얻어 입고 때 되면 밥 얻어먹고 내내 울었네 덕지덕지 껴입은 품에서 서리서리 풀려나오는 구음이 조등을 적셨네 뜻은 알 길 없었지만 으어어 어으으 노래하는 동안은 떼 지어 뒤쫓아 다니던 아이들 돌팔매도 멈췄네 어딜 보는지 종잡을 수 없는 사팔뜨기 같은 눈에서 눈물 떨어지는 동안은 짚으로 둘둘 만 어린아이 풀무덤이 생기면 관도 없는 주검 곁 아주 살았네 으어어 버버버 토닥토닥 아기 재우는 듯 무덤가에 핀 고사리 삐비꽃 억새 철 따라 꽃무덤 장식했네 살아서 죽음과 포개진 그 여잔 꽃 바치러 왔네 세상에 노래하러 왔네 맞으러 왔네 대신 울어주러 왔네 어느 해 흰 눈 속에 파묻힌
어린 시절 우리 동네에도 저런 이가 살았네. 지능은 낮고, 용모는 추하고, 말도 행동도 엉망이어서 종잡을 수 없던. 그는 어른들과는 어울리지 못하고 코흘리개들과 주로 놀았지. 툭하면 놀림당하고 돌 맞았지. 그러고도 히죽히죽 웃기만 했네. 도대체 원한이라곤 모르는 영혼처럼.
시를 읽자니, 어느 시골에나 저런 이들이 하나씩은 있었던 모양이네. 시인의 고향에 살던 그녀는 우는 데 선수였구나. 상가의 곡비(哭婢)가 되어 제 무대를 만난 듯 울다가는, 어느 땐 또 저 애장 터를 갖은 들꽃으로 장식하고 여러 날 엎드려 흐느꼈구나. 여자 몸으로 잉태하지 못한 설움 때문이었을까. 남모르게 아이를 가졌다 놓쳤던 적이 있었을까. 하지만 아무리 들여다봐도, 그녀의 눈물의 근원을 알 수가 없네.
그녀는 말 못하는 혀를 가져서, ‘어버버버버’ 하는 신음과 ‘으어어 어으으’ 하는 ‘구음’밖엔 내지 못하네. 그것은 분절되지 않아 ‘뜻을 알 길 없’는 말. 하지만 나는 신음보다 더 인간의 고통을 잘 전해주는 말을 듣지 못했네. 울음보다 더 인간의 슬픔을 잘 전해주는 말을 알지 못하네. 그래서 그 ‘소리’엔 철부지들의 돌멩이마저 공중에 정지시키는 힘이 들어 있었겠지. 노래하고, 얻어맞고, 모두의 슬픔을 대신 만져주고 떠난 그이는 누구였을까…. 나는 어딘가에서, 하느님은 지상의 상한 정신 안에 비밀히 깃드신단 말을 들은 적이 있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