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는 은현리 산골에 별을 보러 가는 천문학교가 있다. 은 현리 천문학교에서 나는 별반 담 임선생님. 가난한 우리 반 교실 에는 천체만원경이나 천리경은 없다. 그러나 어두워지기 전부터 칠판을 깨끗이 닦아놓는 착한 하 늘이 있고, 일찍 등교해서 교실 유리창을 닦는 예쁜 초저녁별이 있다. 덜커덩 덜커덩 은하열차를 타고 제 별자리를 찾아오는 북두 칠성 같은 덩치 큰 별들이 있고 먼 광년에서 자전거를 타고 오느 라 숨을 헐떡이는 별도 있다. (…)
프랑스 하늘에 알퐁스 도데의 ‘별’이 있다면, 우리 하늘에는 정일근 시인의 ‘별’이 있다. 정일근 시인이 불러오는 별들은 도데의 별 이상으로 청량하고 아름답다. 사실 아름답다는 말로는 부족하다. 이 시에 나오는 별들이 얼마나 소중하고 귀한지 볼 때마다 마음이 벅차다.
시인은 자신을 천문학교 선생님이라 소개하고 있다. 그는 실제로 선생님이었지만 천문학교에 재직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스스로를 천문학교 선생님이라고 표현하는 이유가 참 멋지다. 시인은 학교에서 수많은 별들을 보았다. 그 별은 바로 학생들이었다. 그는 모든 아이들이 소중한 ‘별’이라고 생각한다. 유리창을 닦는 기특한 저 여학생도 하나의 별이고, 자전거를 타고 숨을 헐떡이며 등교하는 저 남학생도 하나의 별이다.
있는 그대로의 사람이 바로 ‘별’이다. 성적이 좋은 학생만 별이 되는 것이 아니고, 출세하고 부유한 사람만 별인 것도 아니다. 사람은 이미 그 자체로 별처럼 반짝인다. 이미 그 자체로 귀하다. 그런데 이 사실을 우리는 얼마나 잊고 사는지 모르겠다. 마치 죽은 별처럼 시들어 사는지 모르겠다.
그래서 이 시가 소중하다. 시인은 우리가 잊었던 사실을 다시 알려준다. 너는 별이라고. 그냥 있어도 별처럼 반짝인다고 속삭여 준다. 이 말을 쉽게, 혹은 오래 믿기는 어렵지만 힘이 나는 것은 사실이다. 나는 별일지 몰라. 나는 나 그대로 소중한가봐. 나는 나를 사랑해줘도 되나봐. 이러한 사실을 정일근 시인은 신념을 가지고 노래한다. 그 노래를 들으며 우리 모든 별들이 스스로의 별빛에 물들었으면 좋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