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서울!/서혜림]귀촌은 이민 준비하듯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7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서혜림
이민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마음이 바쁘다. 언어도 다르고 문화도 다른 곳에서 살아야 하기 때문에 공부할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나는 귀촌 준비를 이민 준비처럼 시작했다. 언어, 문화, 화폐가치, 지켜야 할 매너까지 아예 다르기에 처음부터 배운다고 생각하기로 했다.

도시는 이사가 일상이다. 하지만 농촌은 태어난 집에서 죽을 때까지 살아가는 사람들의 공동체다. 도시공동체와 성격이 같을 리 없다고 판단했다. 또 언제든 직장을 옮길 수 있는 도시와는 달리 생활공간과 일의 공간이 같고, 거의 평생 한 직업을 유지하는 농촌은 서울과 문화도 다를 것이다. 한꺼번에 지역문화를 익히고 사람들과 친해지기는 어려울 터이니 귀촌 선배들에게 경험담을 들으며 참고했다.

귀농 첫 여덟 달 동안 귀촌자가 운영하는 농장에 딸려 있는 숙소에서 생활을 했다. 소소한 일을 도와주고 농작물을 얻어먹으면서 18년 귀촌 노하우를 들었다. 아랫집 아주머니와 어떻게 친해졌는지를 들었을 때는 신기했다. 그 아주머니는 조금 괴팍한 편인데도 귀촌인에게 마음을 여셨다. 노하우는 의외로 단순했다. 언제나 먼저 밝게 인사를 하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는 자주 도와주었다고 했다. 풀 관리가 어려운 시골에서 우리 집 풀을 깎으면서 아랫집 풀도 조금 깎아 준다거나, 우리 집 밭 ‘로타리를 칠’(밭을 간다는 뜻) 때 아랫집 밭도 함께 해주는 식이다. 도시의 관점에서는 좀 이상한 일이다. 마치 우리 집을 청소하면서 아랫집도 함께 청소해 주는 격이다.

바로 이런 점 때문에 귀촌을 이민으로 봐야 한다. 더구나 시골이라고 모두 문화가 같은 것도 아니다. 같은 지역 안에서도 마을마다 분위기가 다르다. 처음 이 말을 들었을 때는 이해할 수 없었다. 내 눈에는 다 같아 보였기 때문이다. 귀촌 2년 차가 되니 어느 정도 알 듯도 하다. 이장님이 바뀌면 마을의 정책이 바뀌기도 하고, 구성원들의 평균 연령대가 어떤지, 주로 어떤 농산물을 키우는지, 마을의 역사가 어떤지에 따라 정말 마을마다의 문화도 다르다. 무조건 ‘시골은 이럴 것이다’라고 단정 지을 수 없는 이유다.

다행히 내가 사는 마을은 시골이지만 근처에 새 주택이 스무 채 정도 모여 있다. 주로 귀촌한 젊은 사람이 많다 보니 마을 주민들에게 귀촌인이 낯설지 않다. 그 덕에 쉽게 적응할 수 있었다. 하지만 누군가가 귀촌할 때 무엇부터 준비하면 좋겠느냐고 묻는다면 ‘이민을 간다고 생각하고 준비하면 적당하다’라고 답해주고 싶다. 미국으로 가는 사람과 아프리카로 가는 사람은 준비해야 할 것이 전혀 다르다. 어디로 귀촌을 하는지에 따라 그 지역의 문화를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나와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한다면 뭐라 말해 줄 것이 없다. 굳이 묻는다면 어느 정도 그 지역의 문화를 받아들일 자세를 가진다면 정착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겠나.
 
서혜림

※필자는 인천에서 생활하다가 2015년 충남 홍성으로 귀촌하여 농사짓지 않는 청년들의 미디어협동조합 로컬스토리를 창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귀농#귀촌 노하우#이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