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국제시장’으로 명성을 얻은 부산 국제시장에 흑백 사진관이 생겨 이제는 국제시장을 찾는 관광객들의 필수 코스가 됐다는 보도가 있었다. 1960, 70년대의 향수를 자극하는 시장에 흑백필름을 써 촬영하고 직접 인화까지 해주는 사진관이 더해졌으니 창의적인 ‘복고(復古) 마케팅’이라 할 만하다. 사진관은 사람이 몰려 예약 없이는 사진 찍기가 힘들다고 한다. 흑백사진이 추억과 회상을 앞세워 대중에게 어필하고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1980년대 말 사진기자가 됐을 때 처음 했던 일은 흑백필름을 감는 일이었다. 암백에 100ft짜리 코닥 흑백필름을 로더기에 장착하는 게 필름 감는 것의 첫 번째 단계다. 선배들의 시범을 따라 하기가 만만치 않았다. 그 다음 일은 찍은 필름을 현상하기 위해 롤에 다시 감는 일이었다. 암실에 혼자 들어가 필름을 스테인리스 롤에 감는 것은 많은 실수 끝에 익숙해질 수 있었다. 롤에 감긴 것을 시간 맞춰 현상을 하고 필름을 꺼내 세척과 건조 과정을 거쳐 인화기에 건 후 인화를 해야 비로소 흑백사진이 나왔고 보도사진이 돼 지면에 실렸다. 이 과정에서 노출이 안 맞거나 색조가 맞지 않은 사진들은 휴지통으로 들어갔다.
흑백사진을 얻기 위해 복잡한 절차를 거치는 사람은 사진작가와 사진관 주인밖에 없다. 일반인들이 흑백사진에서 향수와 추억을 느끼기 위해 직접 만들려고 덤볐다간 그 비용을 감당하기 힘들 테니 사진관을 찾아가는 게 훨씬 경제적이다. 비용 탓인지 흑백사진을 직접 찍는 것까지는 아니어도 필름 카메라로 디지털 카메라로는 느끼지 못하는 ‘느림의 미학’을 즐기는 이도 늘고 있다. 복고가 통하는 이유 중 하나가 빠름과 변화에 지친 심리를 위무하려는 것도 있으니 이해할 만한 흐름이다.
디지털 카메라로도 얼마든지 흑백사진의 맛과 정취를 낼 수 있다. 촬영할 때 흑백모드로 하거나 컬러로 촬영한 후 포토샵이나 이미지 프로그램 등을 이용해 흑백으로 전환시키면 흑백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프로그램을 다루기 힘든 중년들은 아예 처음부터 흑백모드로 촬영해 보는 것도 괜찮다. 같은 장면을 한 장은 컬러로, 한 장은 흑백으로 찍어 컬러가 어떻게 흑백으로 재현되는지 감을 익히는 것도 공부가 된다. 더 확실하게 흑백에 대한 감을 얻으려면 흑과 백이 극명하게 대조되는 밤 풍경을 촬영해 보길 권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