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는 국제사회에서 많은 논란을 일으켜온 나라다. 지나치게 보수적인 이슬람 수니파 사상을 추종해 극단주의자를 양성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여성에게 운전도 허용하지 않는 구시대적인 사회 분위기와 언론 자유와 문화 활동에 대한 억압도 주요 20개국(G20) 회원국이란 위상에 어울리지 않는다. 최근 2, 3년 사이에는 △예멘 내전 개입 △이란 단교 △카타르 단교 등 갈등만 키우고 이득은 딱히 못 얻는 ‘대형 악수(惡手)’도 뒀다.
이런 사우디가 이미지 개선을 위한 글로벌 국가 홍보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핵심은 유럽(런던 베를린 파리 모스크바)과 아시아(베이징 도쿄 뭄바이) 주요 지역에 자국을 알리고, 부정적인 보도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는 ‘홍보 허브(public relations hubs)’를 설립하는 것이다. 사우디는 홍보 허브들을 통해 보도자료 작성, 소셜미디어 콘텐츠 생산,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인사들의 사우디 방문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사우디의 글로벌 홍보 전략은 새 왕세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알 사우드(MBS)가 주도하는 ‘국가혁신계획’에도 포함돼 있다.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국왕의 아들로 올 6월 사촌형(무함마드 빈 나예프 알 사우드)을 왕세자에서 끌어내린 그는 개혁·개방과 함께 △석유 의존도 줄이기 △해외 투자 유치 활성화 △문화산업 육성 등을 강조해 왔으며 국가 홍보에도 관심이 클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그러나 사우디의 글로벌 홍보 전략은 화제는 될지언정 좋은 평가는 받지 못하고 있다. 중동 외교가에서는 ‘과연 성공할 수 있겠느냐’는 부정적인 반응도 적지 않다. 글로벌 홍보 전략이 공개되기 전후로 사우디의 이미지를 크게 훼손시키는 일이 자주 발생했기 때문이다.
사우디는 이달 초 자국 가수들에게 카타르를 비판하는 노래를 부르라고 요청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영국의 중동 전문매체인 미들이스트아이(MEE)에 따르면 사우디의 유명 가수 7명이 ‘카타르를 가르쳐라’란 제목의 노래를 발표했다. 가사에는 ‘카타르와 그들의 편에게 가르쳐라. 우리는 참고 있지만 사태가 심각해지면 행동할 것이다’는 협박성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음반은 사우디 왕실 구성원의 소유 음반사인 ‘로타나’가 제작했다. 중동 안팎에선 “유치한 방식의 선전선동”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글로벌 홍보 전략이 세상에 알려진 날(12일) 사우디 당국이 고위 성직자인 셰이크 살만 알 우다 등 비판적인 자국 인사 30여 명을 구금해 국가 이미지를 스스로 망가뜨렸다. MBS의 시대가 열리기 전 반(反)정부 인사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단속 작업을 진행한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와 현지 인권단체에 따르면 구금된 이들은 MBS와 사우디 정부의 정책을 비판하다 미운털이 박혔다. 특히 수백만 명의 소셜미디어 팔로어를 거느릴 만큼 영향력이 큰 알 우다는 사우디와 카타르 간 갈등 해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구금됐다. 그는 1990년대 사우디 내 개혁 운동의 리더였고, 2011년 발생한 ‘아랍의 봄’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지난해 발표한 중장기 경제개혁 정책을 1년 만에 대거 수정하고, 갑작스럽게 왕세자를 교체한 뒤 폐위된 왕세자를 가택 연금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지는 것도 최근 국제적으로 사우디의 이미지를 실추시킨 사건이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정부의 글로벌 홍보 전략은 단순한 보여주기 식 선언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불가피한 것이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보다 자국의 숨겨진 장점을 알리기에 앞서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모습부터 보여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자유 확대와 정책의 예측 가능성 등 ‘대국(大國)’이나 ‘리더 국가’가 아니더라도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국가들이 모두 지향하는 가치부터 제대로 챙겨야 한다는 뜻이다.
중동 외교가의 한 관계자는 “사우디가 자주 글로벌 스탠더드와 동떨어진 모습을 보인 것도 현재 혼란스러운 중동 정세의 원인 중 하나”라며 “사우디가 예측 가능하고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인다면 상황도 개선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사우디가 적극적으로 글로벌 스탠더드를 지향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중동은 물론이고 다른 지역의 평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세계의 화약고인 중동도 사우디가 모범적인 모습을 보이니 안정화 수준이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면 동북아와 동유럽 같은 다른 불안정 지역의 리더 국가들에 책임감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런 노력이 쌓인다면 사우디의 국제사회 위상도 당연히 달라질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