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의 길]나무가 춤을 추면 바람이 불고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0월 11일 03시 00분


<7> 연세대 청송대

지금도 재학생들이 산책하고 사색을 즐기는 서울 연세대의 청송대 숲길. 윤동주는 이곳에서 상상력을 키우고 시를 쓰면서 나무처럼 살고자 했다. 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지금도 재학생들이 산책하고 사색을 즐기는 서울 연세대의 청송대 숲길. 윤동주는 이곳에서 상상력을 키우고 시를 쓰면서 나무처럼 살고자 했다. 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윤동주는 숲에서 글을 구상했다.

‘일찍이 서산대사가 살았을 듯한 우거진 송림 속, 게다가 덩그러니 살림집은 외따로 한 채뿐’(‘종시’)이라고 할 만치 연희전문 핀슨홀 기숙사는 숲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지금도 연세대에는 청송대라는 작은 숲이 있다. 숲과 화원은 그의 상상력을 잉태하는 종요로운 공간이었다.
 
나는 이 귀한 시간을 슬그머니 동무들을 떠나서 단 혼자 화원을 거닐 수 있습니다. 단 혼자 꽃들과 풀들과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한 일이겠습니까.(‘화원에서 꽃이 피다’)
 
꽃과 풀과 대화했던 그에게는 나무도 귀한 대화 상대였다. 연희전문에 입학하기 전 그의 글에도 나무는 등장한다. ‘나무 가지 위에 하늘이 펼쳐 있다’(‘소년’), ‘눈 내리는 저녁에 나무 팔러간/우리 아빠 오시나 기다리다가’(‘창구멍’) 등에서 나무는 늘 그의 곁에 있다.
 
나무가 춤을 추면
바람이 불고,
나무가 잠잠하면
바람도 자오
― ‘나무’(1937년 3월)
  
이상하지 않나. 사실 바람이 불면 나무가 춤을 추고, 바람이 자면 나무가 잠잠해야 하지 않는가. 동주는 거꾸로 생각한다. 원인과 결과가 바뀌어 있다. 바람이 아니라 나무가 세상의 중심이며 주인이란다. 내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 내가 정신없으면 만사가 난리고, 내가 태연하면 만사가 잘된다는 식으로 볼 수도 있겠다.

관점을 바꾸면 세상은 다르게 보인다. 우리 집에는 닭도 없는데, ‘다만 애기가 젖 달라 울어서 새벽이 된다’, 우리 집에는 시계도 없는데 ‘다만 애기가 젖 달라 보채어 새벽이 된다’(‘애기의 새벽’)고 한다. 닭이나 시계 대신 새벽을 끌어오는 이 ‘애기’야말로 바람을 춤추게 하고 잠잠케 하는 나무, 곧 강력한 단독자 아닌가.

동주가 좋아했던 ‘맹자’에 나오는 대장부(大丈夫)도 나무랑 비슷하다. 세상에서 큰 도를 행하며(行天下之大道), 가난하거나 천해도 마음을 바꾸지 않는(貧賤不能移) 대장부야말로 나무와 비슷하다. 광명중학교 시절 습작노트 ‘나의 습작기의 시 아닌 시’ 뒤표지 안쪽에 적힌 메모, 3·4·5조가 반복되는 빈틈없는 ‘나무’는 이토록 많은 생각을 이끈다. 윤동주는 나무에 대한 짧지 않은 묵상을 남겼다.
 
나무가 있다.
그는 나의 오랜 이웃이요 벗이다.
나는 처음 그를 퍽 불행한 존재로 가소롭게 여겼다. 그의 앞에 설 때 슬퍼지고 측은한 마음이 앞을 가리곤 하였다. 마는 돌이켜 생각건대 나무처럼 행복한 생물은 다시없을 듯하다. 굳음에는 이루 비길 데 없는 바위에도 그리 탐탁지는 못할망정 자양분이 있다 하거늘 어디로 간들 생(生)의 뿌리를 박지 못하며 어디로 간들 생활의 불평이 있을쏘냐. 칙칙하면 솔솔 솔바람이 불어오고, 심심하면 새가 와서 노래를 부르다 가고, 촐촐하면 한줄기 비가 오고, 밤이면 수많은 별들과 오손도손 이야기 할 수 있고
― ‘별똥 떨어진 데’(1939년)

 
연희전문학교 교정 인근 연희숲에서 학우들과 기념사진을 찍은 윤동주(가운데).
연희전문학교 교정 인근 연희숲에서 학우들과 기념사진을 찍은 윤동주(가운데).

윤동주에게 나무는 오랜 이웃이고 벗이다. 사실 그는 자신을 나무에 비유하고 있다. ‘퍽 불행한 존재로 가소롭게 여겼’던 것은 그 자신일 수도 있겠다. 측은해 보이던 자신은 나무를 보고 행복의 의미를 깨닫는다. ‘칙칙하면 솔솔 솔바람이 불어오고…밤이면 수많은 별들과 오손도손 이야기’하는 나무의 일상은 행복 자체다. 나무는 세상과 대립되어 있는 명령자가 아니다. 세상과 더불어 움직이는 존재다. ‘나무가 잠잠하면/바람도 자오’라는 구절처럼 내 마음이 태연하면 세상도 평안하다. 나무가 행복한 이유는 인용문 아래 이어 나온다.

‘보다 나무는 행동의 방향이란 거추장스런 과제에 봉착하지 않고 인위적으로든 우연으로서든 탄생시켜 준 자리를 지켜 무진무궁(無盡無窮)한 영양소를 흡취(吸取)하고 영롱한 햇빛을 받아들여 손쉽게 생활을 영위(營爲)하고 오로지 하늘만 바라고 뻗어질 수 있는 것이 무엇보다 행복(幸福)스럽지 않느냐.’

어찌 태어났든 나무는 태어난 자리에서 ‘영롱한 햇빛을 받아들여’ 오로지 하늘로 향한다. 나무의 행복은 늘 하늘을 바라보는 향일성(向日性)에 있다. 인간이 가야 할 길(道)을 포기하지 않는 삶이다. 그 향일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태양을 사랑하는 아이들아/별을 사랑하는 아이들’(‘눈감고 간다’·1941년 5월)에게 다른 유혹에 흔들리지 말고 눈감고 가라며 저돌적인 향일성을 강조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서 버리는 것이다’(‘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라고 했던 백석 시인이 ‘굳고 정한 갈매나무’(‘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에서 위로를 얻었듯이, 동주도 무진무궁 영양소를 취하면서 오로지 하늘만 바라는 나무에서 행복을 누리려 한다.

흔히 윤동주를 나약하고 감성적인 청년으로 생각하지만, 그의 시를 대여섯 번 읽으면 영혼의 힘줄에 이상한 탄력이 부푼다. 그 마음이 열매의 씨처럼 단단하다는 것을 친구 유영(전 연세대 교수)이 잘 증언했다.

“누구도 어찌 못할 굳고 강한 것이었다. 문학에 지닌 뜻과 포부를 밖으로 내비치지 않으면서 안으로 차근차근 붓을 드는 버릇이 있었다. 동주는 말이 없다가도 이따금 한마디씩 하면 뜻밖의 소리로 좌중을 놀라게 했다.”

김응교 시인·숙명여대 교수
김응교 시인·숙명여대 교수
변두리 출신, 식민지 백성이라는 굴레에서 그는 세상을 춤추고 잠들게 하는 나무에 주목한다. 모자란 미물도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나무틈으로 반짝이는 별만이/새 세기의 희망으로 나를 이끈다’(‘산림’·1936년)는 구절처럼, 한 획 낭비 없이 단아하고 찰진 시는 우리 몸 어딘가를 툭 건드리며 이끈다.
 
김응교 시인·숙명여대 교수
#동주의 길#화원에서 꽃이 피다#나무가 춤을 추면 바람이 불고#윤동주의 나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