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이슈/이세형]위기 속에 가까워진 이스라엘과 아랍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1월 6일 03시 00분


이스라엘 예루살렘 서쪽 성벽인 ‘통곡의 벽’은 유대교와 이슬람교가 모두 신성시하는 성지다. 예루살렘을 둘러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이스라엘과 아랍국가들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동아일보DB
이스라엘 예루살렘 서쪽 성벽인 ‘통곡의 벽’은 유대교와 이슬람교가 모두 신성시하는 성지다. 예루살렘을 둘러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이스라엘과 아랍국가들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동아일보DB
이세형 국제부 기자
이세형 국제부 기자
이스라엘의 혁신 기술과 창업 경제를 취재하기 위해 지난주 텔아비브와 예루살렘을 방문했다. 출장 마지막 날인 2일 아침 현지인들은 “오늘 새벽에 일부 지역에서 공습경보가 울렸다. 혹시 사이렌 소리를 들었느냐”고 물었다. 이들은 “단순한 시스템 오작동이었다는 게 정부 측 설명”이라면서도 “일부 언론과 소셜미디어에서는 최근 이스라엘 공군이 친(親)이란·반(反)이스라엘 성향이 강한 시리아 일부 지역을 공습했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시리아도 이스라엘에 반격을 해 공습경보가 울렸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적인 느낌과 고전미가 잘 어우러진 도시 풍경과 미국 실리콘밸리 같은 첨단기술 허브를 지향한다고 당당하게 말하는 현지 스타트업과 정부 부처 관계자들의 대화 속에서 잠시 잊고 있었던 이스라엘의 엄중한 안보 현실이 다시 떠오르는 순간이었다. 최근에는 비교적 조용했지만 ‘세계의 화약고’인 중동에서도 대표적인 분쟁 국가인 이스라엘이 극도의 위험 지역이 되는 건 언제든 가능하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날따라 유독 많은 군인과 경찰이 거리에 보이는 것 같았다.

이처럼 공습경보가 울렸다는 사실만으로 긴장하게 된 외국인(기자)과 달리 현지인들은 “과거보다 평화로워지고 있는 것 같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등 아랍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 분위기가 뚜렷하게 감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UAE에서 열린 ‘2017 아부다비 유도 그랜드슬램 대회’는 적잖은 이스라엘 국민에게 감동을 줬다. 이스라엘 선수 5명이 메달을 땄기 때문만은 아니다. 이스라엘 선수와의 악수를 거부한 UAE 선수의 행동에 대해 이 나라 체육계의 고위 인사들이 이스라엘 측에 ‘사과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스라엘 선수단도 ‘비록 국기 게양과 국가 연주(아랍권 국가들은 이스라엘 국기 게양과 국가 연주를 금지하고 있음)는 없었지만 UAE 측이 대회 기간 내내 배려를 해줬다’고 평가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투자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인 ‘아워크라우드’를 운영하는 존 메드베드 대표는 이스라엘 경제 현황을 설명하던 중 아랍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비중 있게 설명했다. “아부다비 유도 대회에서 벌어진 일은 과거에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라며 “이스라엘 경제를 어렵게 만들었던 큰 리스크 중 하나가 축소되고 있고, 미래가 그만큼 밝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이스라엘 기업이 개발한 서비스를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하는 아랍 국가도 많다. 전 세계 주요 도시의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앱) 업체 ‘무빗’은 사우디, UAE, 바레인 같은 아랍 국가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무빗 관계자는 “우리 서비스를 막겠다는 반응을 보인 아랍 국가는 아직 없다. 북한 빼고는 사실상 어느 나라에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웃었다.

이스라엘이 비밀리에 오랜 앙숙 사우디와 고위 인사 회동 및 지역 정세 협의 등을 하고 있다는 소문에 대해서도 “가능하다” “필요한 조치다”라는 반응이 많았다. 또 사우디 왕세자 무함마드 빈 살만 알 사우드가 추진 중인 △여성 운전 허용 △탈석유 전략 △국토개발 프로젝트 등에도 관심이 많았다.

이처럼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 관계 개선이 이뤄지고 있는 배경에는 자체적인 긴장 완화 필요성 못지않게 이란의 부상이란 변수가 있다.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이 모두 적으로 여기는 이란이 ‘핵 합의’를 바탕으로 영향력이 확대되자 대(對)이란 견제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란은 중동국가 중 인구 규모, 석유와 가스 매장량, 과학기술과 교육 수준 등 종합적인 역량을 볼 때 가장 돋보이는 나라다. 어떤 형태로든 공동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사이에 형성돼 있다는 분석도 많다.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의 새로운 화해 움직임은 향후 △지역 패권 경쟁 △팔레스타인 분쟁 △이슬람국가(IS) 퇴치 뒤 시리아와 이라크 재건, 나아가 미국과 유럽의 중동정책에도 크고 작은 영향을 줄 것이다. 또 국익과 정세 변화에 따라 국가 관계가 얼마나 빠르게 바뀔 수 있는지도 느끼게 해준다. 중동보다 직접적인 무력 충돌은 많지 않지만, 복잡한 국가 간 관계가 얽히고설켜 있는 동북아에도 언제든지 적용될 수 있는 모습이기도 하다.

― 텔아비브·예루살렘에서
 
이세형 국제부 기자 turtle@donga.com
#통곡의 벽#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의 화해#애플리케이션 무빗#2017 아부다비 유도 그랜드슬램 대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