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표의 근대를 걷는다]<76>상암동 월드컵공원과 난지도 쓰레기장의 흔적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2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서울 월드컵공원 전시관의 난지도 쓰레기들. 구두닦이통, ‘코리아나’의 서울 올림픽 주제가 앨범 등이 눈에 띈다.
서울 월드컵공원 전시관의 난지도 쓰레기들. 구두닦이통, ‘코리아나’의 서울 올림픽 주제가 앨범 등이 눈에 띈다.
한강이 내려다보이고 붉은악마의 함성이 들리는 곳, 서울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공원(노을공원 하늘공원 등). 30여 년 전만 해도 이곳은 대규모 쓰레기장이었다. 1000만 서울시민이 먹고 쓰고 버린 것이 총집결했던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

난지도는 원래 아름다운 꽃이 피고 새가 노니는 곳이었다. 예부터 난초와 영지가 자란다고 해서 난지라는 이름이 붙었다. 꽃이 많아 꽃섬, 오리가 물에 떠있는 모습이어서 오리섬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1960, 70년대 난지도는 억새가 우거져 데이트와 영화 촬영 장소로 인기가 높았다.

그런 난지도가 쓰레기 매립지로 변한 것은 1978년. 이후 1993년까지 서울시민의 쓰레기는 모두 난지도로 모였다. 15년 동안 약 270만 m²(82만3000여 평)에 9200만 t의 쓰레기가 쌓였고 그 높이가 98m에 달했다. 8.5t 트럭 1300만 대 분량. 거대한 쓰레기산이 생긴 것이다. 파리 먼지 악취가 많아 삼다도로 불렸고, 15년 동안 무려 1390차례나 화재가 발생했다. 불모의 땅이었다.

1993년 경기 김포에 새로운 쓰레기 매립지가 조성되면서 난지도를 되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쓰레기산을 흙으로 덮고, 흘러내리지 않게 경사면을 안정화하고,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를 정화하고, 매립 가스를 포집해 난방 에너지로 돌리고…. 2002년 난지도는 그렇게 공원으로 다시 태어났다.

월드컵공원 동편 가장자리에 가면 난지도의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관이 있다. 쓰레기산을 절개한 단면 모형과 난지도 쓰레기 일부를 전시해놓았다. 10여 년 전엔 뉴 뽀빠이, 김성동 소설 ‘만다라’, 조용필 1집, 비사표 성냥, 삼양라면 등이 보였는데 며칠 전 가보니 연탄재, 구두닦이 통, 그룹 ‘코리아나’의 서울 올림픽 주제가 앨범, 브라운관 TV, 자전거 튜브 등이 눈에 들어왔다.

난지도 쓰레기는 개발시대 서울의 일상과 소비와 욕망의 흔적이다. 그리고 난지도의 수난사이기도 하다. 그 흔적을 기억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난지도 쓰레기장의 핵심 공간이었던 노을공원 하늘공원에서는 더더욱 그래야 한다. 사람들이 발 디디는 지표면 아래엔 지금도 엄연히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있기 때문이다.

2050년쯤, 노을공원이나 하늘공원 일부를 절개해 발굴해보면 어떨까. 1970, 80년대 서울의 삶을 만나는 흥미로운 기회가 될 것이다.

이광표 오피니언팀장·문화유산학 박사
#한강#상암동 월드컵공원#난지도#난지도 쓰레기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