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의 재발견]<42>물고기는 왜 ‘물꼬기’로 읽나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2월 7일 03시 00분


김남미 홍익대 국어교육과 교수
김남미 홍익대 국어교육과 교수
‘물고기’와 ‘불고기’를 발음해 보자. 이상하지 않은가? 문장을 말하면서 다시 확인해 보자.

어제 물고기를 먹었다.
어제 불고기를 먹었다.

이렇게 문장에 넣어 말해야 단어의 실제 발음을 알 수 있다. 표준어나 맞춤법은 실제 발음을 토대로 정해지기에 이런 확인 방식에 익숙해지는 것이 좋다.

‘불고기’는 [불고기]로, ‘물고기’는 [물꼬기]로 소리 난다. 똑같이 ‘ㄹ’ 뒤인데 ‘물고기’에서만 된소리가 나다니 이상한 일이다. 어떤 사람은 자신이 [물고기(×)]로 발음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말 그대로 생각이다.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사람은 누구나 [물꼬기]와 [불고기]로 소리 낸다.

이런 소리 차이가 ‘물’과 ‘불’ 때문에 생긴 일인가? 그런지 보려면 다른 증거를 확인해야 한다.

저 위로 물기둥이 솟았다.
저 위로 불기둥이 솟았다.


‘물고기’와 ‘불고기’의 발음 차이가 ‘물’/‘불’ 자체에서 생기는 것은 아니다. [물끼둥], [불끼둥]에서는 모두 된소리 ‘ㄲ’이 나기 때문이다. 역시 [물기둥(×)]이나 [불기둥(×)]으로 발음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문자에 익숙해 생기는 착각이다. 문장 속 소리를 확인해 보자. 그래도 의심스럽다면 녹음해 들어 보는 것도 방법이다.

중요한 것은 이렇게 소리 내야 한다고 정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교육 수준에 상관없이 누구나 [물꼬기/불고기], [물끼둥/불끼둥]이라고 발음한다. 이런 차이는 사실 단어 속 의미 관계 때문에 생긴 일이다. 의미와 발음의 관계를 정리해 보자.



앞말과 뒷말의 관계가 ‘∼의’일 때 뒷말에 된소리가 생긴다. 이런 원리 때문에 우리는 아래 단어들의 뒷말을 된소리로 발음한다.

문고리[문꼬리], 눈동자[눈똥자], 산새[산쌔], 길가[길까],
발바닥[발빠닥], 아침밥[아침빱], 잠자리[잠짜리], 강가[강까], 등불[등뿔]


‘불고기’를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 것도 같은 원리다.

그런데 어디선가 이 원리를 본 듯하지 않은가? 사이시옷의 표기 원칙을 기억해 보자(맞춤법의 재발견 5, 6, 7 참조). 그때 ‘ㅅ’ 표기의 원리는 우리의 발음이 보여주는 원리 때문이라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물고기’의 발음은 앞선 원리가 표기하지 않는 것에까지 확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물고기’의 발음이 정말 ‘ㅅ’과 관련된 것일까? 증거를 보자.

뭀고기(분류두공부시언해 16:62)

‘물’과 ‘고기’ 사이의 ‘ㅅ’을 보자. ‘ㅅ’과 ‘ㄱ’의 연결은 된소리가 나게 한다. [물꼬기]의 발음이 ‘ㅅ’과 관련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 신기한 일이 있다. 1481년의 문헌 속 표기는 500년도 더 된 말의 연결을 보여준다. 그때 그 사람들도 [물꼬기]와 [불고기]를 구분해 소리 내었다는 점을 뚜렷하게. 까마득한 시간 속에서 그들과 우리가 같은 문법 원리에 따라 말하고 있음을 발견하는 신기한 순간이지 않은가.
 
김남미 홍익대 국어교육과 교수
#맞춤법#물고기#물꼬기#된소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