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톈궁 1호,한국에 추락할 확률 3600분의 1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3월 26일 03시 00분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수석기자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수석기자
최근 전 세계 우주전문가 사이에 때 아닌 ‘비상’이 걸렸다. 통제를 잃고 지상으로 추락 중인 중국의 우주정거장 ‘톈궁 1호’ 때문이다. 예상 추락 범위 중 남한이 차지하고 있는 넓이는 약 3600분의 1 정도. 대기권 진입 도중 불타 없어질 가능성도 커서 국내에서 실제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국내 연구진은 일단 예의 주시하고 있다.

문제는 이번뿐만 아니라 앞으로 우주물체 위험이 점점 증가할 것이라는 데 있다. 이번처럼 낡은 인공위성이나 우주정거장이 지상으로 떨어지는 우주추락사고, 귀중한 인공위성이 지구 주위를 떠돌던 ‘우주쓰레기’와 부딪히는 우주교통사고가 일어날 확률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 각국에서 저마다 우주개발에 나서고 있어 우주물체의 수도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우주물체 위협은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2014년 ‘과학기술위성 3호’가 옛 소련의 기상위성 ‘메테오르’의 파편과 99m 거리를 두고 스쳐 지나간 바 있고, 다목적 실용위성 3호(아리랑 3호)도 같은 해 우주쓰레기와 73m까지 접근한 바 있다. 현재 파악하고 있는 지름 10cm 이상의 우주물체 수는 약 1만8000개. 그중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인공위성 1500개 정도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모두 우주쓰레기로 봐도 무방하다. 더구나 지름이 수 cm도 안 되는 초소형 우주물체는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렵다. 1983년 미국의 우주왕복선 챌린저호는 우주를 떠돌던 작은 페인트 조각이 유리창에 충돌해 큰 손상을 입은 바 있다. 우주공간에 떠 있는 작은 쇳조각 하나는 수천억 원을 투입한 우주개발 계획을 순식간에 물거품으로 만들 정도로 치명적이다.

물론 이 때문에 인류의 우주개발을 막을 순 없는 일. 결국 문제 해결 방법은 철저한 관리뿐이다. 우주물체의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고 감시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것이다. 한국은 2010년 중반부터 나름의 감시체계를 도입하기 시작했지만 핵심 정보는 아직도 미국과 유럽의 고성능 레이더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정보는 힘이다. 우주물체를 쏘아 올리려면 타국과의 협상은 필수다. 일례로 고성능 통신위성을 띄우는 ‘정지궤도’의 경우, 위성을 올릴 공식적인 위치는 180개뿐이다. 물론 지금도 임의로 400개 이상이 운영되고 있지만 앞으로 위성을 올릴 때마다 국가 간 신경전을 거쳐야 한다. 이때 우주정보를 확보하지 못하는 국가는 발언력이 줄어드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앞으로 인류의 우주개발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 우리가 우주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선 우리만의 독자적인 우주감시 능력 강화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선 안 된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수석기자 enhanced@donga.com
#톈궁 1호#중국 우주정거장#우주추락사고#인공위성#과학기술위성 3호#아리랑 3호#우주개발#우주감시 능력 강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