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4·27정상회담, 기자회견서 김정은 비핵화 발언 들어야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4월 6일 00시 00분


4·27 남북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의전·경호·보도 실무회담이 어제 판문점 남측 지역인 평화의집에서 열렸다. 실무회담에서는 김정은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 도착해 군사분계선(MDL)을 어떻게 넘을지, 문재인 대통령은 어디에서 김정은을 맞을지를 비롯해 정상회담의 TV 생중계, 부부 동반 오찬 여부 등 제반 문제를 논의했다. 이번 실무회담이 정상회담장인 평화의집에서 열린 만큼 두 정상의 동선(動線)에 대한 현장점검도 이뤄졌다.

어제 실무회담은 당초 예정된 4일에서 하루 늦춰지고 수석대표도 차관급으로 격상돼 열렸다. 북측이 ‘격을 높여 논의하자’고 요청해온 데 따른 것이라고 한다. 국가 최고지도자 간 정상회담에선 그 의제가 핵심이지만 정상의 움직임과 제스처 하나하나가 상대국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특히 이번 남북 정상회담은 김정은의 사실상 첫 공개 외교행보다. 얼마 전 김정은이 첫 해외 방문으로 중국을 다녀왔지만 철저히 비공개로 진행된 ‘깜깜이 방문’이었던 만큼 북측도 김정은의 데뷔 무대에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정상회담은 국제사회의 오랜 의전상 관례에 따르기 마련이지만 지난 1, 2차 정상회담에선 북한의 일방적 ‘깜짝 의전’에 끌려다닐 수밖에 없었다.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한 김대중 전 대통령도, 육로로 평양 시내에 들어간 노무현 전 대통령도 김정일이 어디에서 영접할 것인지 미리 알지 못했다. “섭섭지 않게 해드리겠다”는 북측의 언질이 전부였고, 사전 협의된 일정도 시간 장소가 변경되기 일쑤였다. 김정일은 노 전 대통령에겐 “하루 더 묵고 가는 게 어떻겠느냐”는 즉석 제안까지 내놓기도 했다. 두 차례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6·15공동선언, 10·4정상선언도 두 정상의 사인만 담긴 채 자료로만 기자들에게 배포됐을 뿐이다.

이번 정상회담은 달라야 한다. 북한의 수도 평양이 아닌 남북 중립지대인 판문점에서, 그것도 남측 관할 지역에서 열리는 만큼 북한도 이를 계기로 국제적 외교 관행을 따르도록 유도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은 5월 북-미 정상회담의 예비회담 성격을 띠고 있는 만큼 김정은이 우리 방북 특사단에 밝혔다는 비핵화 의지를 확인할 중요한 자리다. 김정은의 정상회담 발언은 물론 남북 정상의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김정은 입에서 나온 비핵화 발언을 국민 모두, 아니 세계인 모두가 직접 들을 수 있어야 한다.
#4·27 남북 정상회담#실무회담#평화의 집#김정은#문재인 대통령#김정은 데뷔 무대#6·15공동선언#10·4정상선언#판문점#비핵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 2018-04-06 09:34:11

    아마 똥개정은이가 비핵화 한다 말은 할거요 그런데 방법론으로 들어가 본면 불가능 한 것이 겠지요 그래도 북괴괴뢰 문재앙과 그똥구데기들은 좋다고 미쳐 날뛰겠지요 C-8

  • 2018-04-06 04:53:33

    짱돌노란리본단무지들이 대거 점령했으니 본전생각 간절하구나? 이래서 나라는 더욱 썩어빠진 나라가 된다니깐 그래서 옛말에 구관이 명관이라한다. 어떤군사정권도 지금처럼 안하무인 후안무치로 정치하지 않았으며 어떤 독제정권도 지금처럼 무법천지인민제판은 없었다.

  • 2018-04-06 08:42:47

    변호사와 짐승. 말이통할까? 1.핵포기.핵사찰. 돈 달라고하면 혈맹국 중국이 50%내고 준 동맹 라시아가25% 개편 문씨가 25%내기로 합의하면 최고 명 대통령 으로초대한다.적당이.어정정 하면역시 변호사.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