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의 날이다. 이제는 ‘학생 대표’가 아닌 학생들은 종이 카네이션 한 송이조차 선생님께 건넬 수 없는 날이 됐다. 감사의 마음을 담아 선생님께 음료수 한 캔만 드려도 ‘위법한’ 시대다. 이런저런 뒷말이 싫어서 아예 스승의 날 휴교를 하는 학교도 있다. 차라리 스승의 날을 없애자는 말도 나온다. 한국 사회의 학생과 학부모, 교사의 관계가 어쩌다 이렇게까지 됐을까.
스승의 날, 학생이 교사에게 주는 카네이션마저 금지한 ‘부정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의 근간에는 오랜 시간 골이 깊었던 우리 사회의 ‘불신의 프레임’이 반영돼 있다. ‘카네이션을 받은 교사들은 카네이션을 준 학생과 주지 않은 학생을 차별할 것이다’라는 교사에 대한 불신이 하나요, “교사에게 카네이션을 준 학생·학부모는 감사해서라기보다는 ‘잘 봐주세요’라는 의미로 주는 것이다”라는 학생과 학부모에 대한 불신이 또 하나다. ‘카네이션=부정청탁’ 공식은 이렇게 나왔다.
김영란법은 카네이션 금지를 통해 우리 사회의 ‘궁극의 깨끗함’을 추구하려 했는지 모른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요즘 아이들이 선생님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사심 없이 전할 기회를 경험하기도 전에 꽃 한 송이조차 법에 정해진 규정을 따지고 들어야 하는 각박함부터 배우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김영란법의 전제대로라면 선생님들은 꽃 한 송이를 줬느냐 안 줬느냐에 따라서 특정 학생을 편애할지도 모르는 의심스러운 존재들이다.
실제 교사들이 카네이션 금지를 불쾌해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대체 우리를 뭐로 보느냐는 것이다. 교사들은 “카네이션을 못 받아서 기분 나쁜 게 아니다. 그까짓 것 받아도 그만 안 받아도 그만이다. 김영란법 이전에도 이미 안 받았다. 그런데 그걸 받으면 아이들을 차별할 거라는 그 전제가 불쾌하다”고 말한다.
교사에 대한 이런 사회적 불신의 프레임은 학령기 내내 학생 학부모의 인식에 알게 모르게 영향을 준다. ‘선생님이 날 혼내는 건 내가 잘못해서가 아니다. 날 미워해서다’라고 의심한다. ‘뭘 덜 해드려서 그런가’ 생각하기도 한다. 학교생활기록부에 선생님이 적은 평가에 대해서도 믿지 못한다. 일부 문제적 교사들뿐 아니라 그렇지 않은 다른 대부분 교사의 진정성마저 의심하는 불신의 프레임 속에서 교사들은 존경할 이유가 없는 사람들이다. 학원 선생님보다 못 가르치고 인격적 수준마저 낮다면 대체 그 소용이 어디 있단 말인가.
교사들은 이 사회가 고작 교사를 그 정도로밖에 안 보면서 교사의 헌신이나 참교육을 운운하는 게 우습다. 일부 교사는 ‘사회가 교사를 교육자가 아닌 공무원으로 만든다’고 항변하며 나태를 합리화한다. 내심 ‘그래, 그냥 아무 관계도 맺지 말자. 나도 더도 덜도 말고 딱 정해진 시간 동안 최소한의 수업만 하련다’ 식인 경우도 많다. 시스템이 소수의 문제 교사들을 걸러내지 않다 보니 교사라는 집단 전체가 갈수록 학생과 학부모의 불신을 산다. ‘불신 지옥’의 악순환이다.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한 지인은 어제 ‘선생님께 드려야지∼’라며 색종이로 꼬깃꼬깃 접은 카네이션을 가방 속에 챙겨 넣는 아이를 보고 착잡한 마음이 들었다고 했다. ‘넌 학생 대표가 아니라서 못 드려’라고 할 수도, 색종이 카네이션마저 법으로 금지한 우리의 한없이 낮은 사회적 신뢰도에 대해 설명할 수도 없었다는 것이다. 편해졌을지는 몰라도 아름답지는 않은, 꽃 한 송이마저 없는 이 시대의 스승의 날이 아쉽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