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조수진]인도·태평양사령부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6월 2일 03시 00분


미국 국방부(펜타곤) 지도는 지구를 6개의 사령부 관할로 나누고 있다. 북부(북미), 남부(중남미), 중부(중동), 유럽, 아프리카, 태평양 사령부다. 펜타곤이 ‘지구방위사령부’로 불리는 이유다. 가장 넓은 지역을 담당하는 곳은 태평양사령부. 하와이(미국)에서 동부 인도양까지 지표면의 51%, 한국 일본을 포함한 36개국을 관할한다.

▷태평양사령부가 창설 71년 만에 ‘인도·태평양사령부’로 간판을 바꿔 단다. 서태평양, 남중국해, 인도양을 잇는 해양 라인을 구축해 중국의 세력 확장을 막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해 10월부터 동북아, 호주, 인도에 이르는 지역을 ‘아시아·태평양’ 대신 ‘인도·태평양’으로 부르고 있는 것과도 궤를 같이한다.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은 “인도·태평양은 많은 벨트, 길을 갖고 있다”며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를 뚫기 위한 개명(改名)임을 감추지 않았다.

▷‘일대일로’는 동·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를 넘어 유럽과 아프리카를 육로(一帶)와 해로(一路)로 연결하겠다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세계 프로젝트. 대상 국가만 65개국이다. 여기엔 미국을 제치고 유라시아 패권을 차지하겠다는 속내가 깔려 있다.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 지명자는 “북한이 태평양 지역의 가장 긴급한 위협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중국이 드러내고 있는 패권 국가의 꿈이 미국에 대한 가장 큰 도전”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태평양사령부 사령관’으로서의 이임식(지난달 30일)에서 인도·태평양사령부에 묵직한 경고장을 남긴 것이다.

▷중국 전국시대 제와 초라는 두 강대국 사이 낀 등나라는 하루도 편한 날이 없었다. 간어제초(間於齊楚)란 고사가 여기서 유래했다. 미국-일본-호주-인도를 묶는 인도·태평양 구상은 다이아몬드처럼 마름모꼴이고, 일대일로는 진주목걸이 모양이다. ‘다이아몬드’와 ‘진주목걸이’가 충돌하는 접점에 대한민국이 있다. 언젠가 어느 편인지 선택을 강요당하는 ‘간어미중(間於美中)’의 시간이 올 수도 있다.

조수진논설위원 jin0619@donga.com
#펜타곤#인도·태평양사령부#지구방위사령부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0

댓글 10

추천 많은 댓글

  • 2018-06-02 12:26:36

    과거 국가 간의 거리가 멀게만 느껴지던 때와는 대응전략도 달라져야 하는 것으로 이런 의미에서 한미일의 우호관계를 공고히 하고 인도 태평양지역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권역내의 국가들과도 계속적인 우호관계를 증진함으로서 중공의 팽창주의를 억제할 것입니다.

  • 2018-06-02 09:31:28

    참 동아의 수준이 알만하다. 국제정치와 역사를 보는 눈이 전혀 없다. 조선조말 친중, 친러하다가 조선은 망했다. 조선은 우물안개구리였고, 일본은 스스로 서구열강에 굴복하여 강제개방했고 조선, 만주,중국, 동남아를 먹었다. 지금 주사파와 북한은 조선말의 역사반복이다.

  • 2018-06-02 08:54:27

    이른바 "중국몽"의 마지막 땅-한반도! 좌파정권20년이면...현실화 될수도!통일은 이루어 진다.대한민국의 쇠퇴와 조선민국의 융기로-중국식 신사회주의 국가다.국민이 어리석으면 방법이없다.문통은 그 일단계 평화정착명분의 지반 정지작업중이다. 그의 꿈이 이루어 질수도...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