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송평인]서울대 총장이라는 자리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7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고려와 조선시대에 최고 공립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의 장(長)을 대사성이라 불렀다. 고려 말기 정몽주로부터 조선 전기의 신숙주, 중기의 이황, 후기의 김정희까지 당대 최고의 지성인들이 대사성을 지냈다. 오늘날 서울대의 총장은 현대판 대사성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서울대 총장에는 1960년대까지만 해도 형법학자 유기천 교수같이 지성과 용기에서 모두 존경받는 분들이 없지 않았으나 유신과 5공 시절을 거치면서 그 위상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민주화 이후에도 총장의 위상은 쉽게 회복되지 않았다. 1991년부터 총장 직선제가 도입되면서 학문적 깊이와 열정보다는 ‘마당발’로 총장이 되는 일이 종종 빚어졌다. 총장 이력을 바탕으로 국무총리가 되고 더 높은 자리를 기웃거린 경우도 나타났다.

▷대학 총장에게는 ‘지성의 대표자’라는 역할 외에도 최고경영자(CEO) 역할이 있다. 영국은 대학 총장 자리를 이원화해 챈슬러(Chancellor)를 두고 그 밑에 바이스 챈슬러(Vice Chancellor) 겸 프레지던트(President)를 둔다. 챈슬러는 대학교에 상주하지 않는 명예총장으로 지성을 대표하고 프레지던트가 실질적 총장이다. 미국은 대학 총장 자리를 대체로 일원화해 프레지던트라고 부르고 CEO 역할을 점차 중시해 왔다. 동양은 좀 달라서 일본 도쿄대는 총장을 대학의 관리책임자로 보지 않고 ‘지성의 전당’의 상징으로 본다.

▷서울대 총장추천위원회에서 최근 총장 후보로 추천된 강대희 의대 교수가 어제 여기자를 성희롱하고 동료 여교수를 성추행한 의혹에 휘말려 후보에서 사퇴했다. 강 교수도 마당발 계열이다. 지성의 고고함을 버리고 어설픈 CEO 마인드로만 달려온 참담한 결과가 이번 사태가 아닐까. 정희성 시인은 “누군가 조국의 미래를 묻거든 눈을 들어 관악을 보라”고 했다. 아직도 시인의 말이 유효한지 강 교수와 추천위원회만이 아니라 서울대 전체가 깊이 자성해야 할 일이다. 그래도 서울대 총장은 조국의 미래가 정말 궁금해질 이때 필요한 조언을 해 줄 수 있는 시대의 지성인이면 좋겠다.

송평인 논설위원 pisong@donga.com
#서울대 총장#강대희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