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남녀 간 기대수명 차이 커
취업률이 여성보다 월등한 남성이 여성보다 격무에 시달리기 때문
여성에 대한 차별이 해소돼야 ‘남성 역차별’도 해결 가능해
한국과 일본은 세계에서 기대수명이 가장 긴 나라에 속한다. 2016년 기준 일본인의 기대수명은 84.1세,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2.4세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각각 1위와 9위의 긴 기대수명을 자랑한다. 그러나 성별을 구분해 보면 조금 그림이 달라지는 것이 여성의 기대수명은 일본과 한국이 1위와 5위지만, 남성의 기대수명은 3위와 16위로 떨어진다. 한국과 일본은 여성과 남성의 기대수명에 여섯 살이나 되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 오래 사는 것이 일반적이고 거기에는 생물학적으로 설명 가능한 원인도 있겠지만, 기대수명이 OECD 중간치 이상인 나라 중 성별 간 기대수명 격차가 여섯 살이나 되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밖에 없다.
한국과 일본에서 왜 유독 성별 간 기대수명의 차가 큰지를 과학적으로 규명한 문헌을 본 적은 없지만, 아마도 여성의 취업률이 낮은 것과 과도한 노동을 요구하는 남성 중심의 직장문화에 그 원인이 있지 않을까 싶다. 2016년 25∼54세 한국 남성의 취업률은 88%였던 데 비해 여성의 취업률은 64%에 불과했다. 같은 연도, 같은 연령의 일본 남성 취업률은 92%, 여성 취업률은 74%였다.
성별 간 취업률 차이가 한국은 24%포인트, 일본은 18%포인트나 되는 셈인데, 선진국 중에 남녀 간 취업률 격차가 18%포인트 이상인 나라로는 한국과 일본 외에 이탈리아가 있다. 프랑스와 독일은 남녀 간 취업률 격차가 8∼9%포인트에 불과하고, 스웨덴과 노르웨이는 5%포인트를 넘지 않는다.
여성의 취업률이 낮은 것은 남성에게 경제적 부담이 집중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경제적 부담을 오롯이 지고 있기 때문에 일을 절대 놓을 수 없는 사람에게 장시간 노동과 술자리 회식까지 요구하는 한국의 직장문화를 생각한다면, 서구 선진국 남성보다 한국 남성의 기대수명이 낮다는 것이 그리 놀라워 보이지는 않는다. 여기까지만 보면 남성 입장에서는 억울한 생각이 들 수도 있겠다. 여성보다 더 많은 경제적 부담을 지고 있는 것도 힘든데, 그로 인해 수명까지 단축된다니 말이다. 그러나 한국에서 여성의 취업률이 낮은 것은 여성에 대한 차별이 만연했고, 모성이 보호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제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 남성들은 여성에 대한 차별을 허상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그들은 가정과 학교에서 성별과 관계없이 동등하게 대우받고 동등하게 경쟁하며 자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순간부터 여성들은 온갖 불리한 차별에 맞서야 하는 것이 아직 우리의 현실이다. 임신과 육아를 이유로 당당하게 휴직을 요구할 수 있는 직장이 얼마나 되겠으며 임신과 육아로 경력이 단절되는 것을 염려하지 않아도 되는 직종이 얼마나 되겠는가. 임원은 고사하고 부장과 차장 자리에 있는 여성을 찾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나는 나이가 오십이 될 때까지 명절이면 늘 내 부모님 댁을 먼저 찾았다. 나는 단 한 번도 아내의 부모님 댁을 먼저 갈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 남성 중심의 사회와 관습이 내게는 마치 공기와 같이 자연스러워서 나는 그것이 누군가에게는 불편하고 부당하고 억울할 수 있다는 것을 미처 깨닫지 못했다. 한편 갓 전역한 아들을 둔 아빠로서, 그리고 내 아들 또래의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로서 나는 군 복무를 끝내고 학교로 돌아오는 복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을 이해한다. 그들이 남성에게만 부과되는 군역을 역차별로 인식하는 것에도 공감한다. 남성만이 군역을 담당하는 제도 역시 누군가에게는 공기처럼 자연스러운 일이겠지만, 누군가에게는 부당하고 억울한 일일 수 있다.
남성에 대한 역차별은 여성에 대한 차별의 다른 모습이다. 군역은 남자가 담당해야 하고 남자가 집을 마련해야 하고 남자가 돈을 벌어 와야 한다는 생각의 이면에는 여자는 아이를 가지면 직장을 그만둬도 되고, 가사와 육아는 어쨌든 여자가 알아서 해야 하고, 남편의 가족이 아내의 가족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는 생각이 자리 잡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에 대한 차별이 개선되고 모성이 보호받아야 남성에 대한 역차별도 개선될 수 있다. 그때가 되어야 남녀 간 기대수명의 격차 역시 서구 선진국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