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나무 아래서]〈9〉거름더미에서 ‘어린왕자 소행성’을 발견하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8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신이현 작가
신이현 작가
“음, 오늘은 좋군. 수박 껍질, 옥수숫대, 커피 찌꺼기…. 아주 좋아.”

레돔이 플라스틱 양동이 안에 든 음식물 찌꺼기들을 살펴보며 만족해했다. 아침이면 그는 가장 먼저 마당 한편에 있는 거름더미에 전날의 음식물 찌꺼기를 버리고 토닥거리는 것으로 일을 시작했다.

“음식물 찌꺼기가 나오면 그냥 버리지 말고 그 위에 마른 나뭇잎이나 짚을 꼭 덮어줘. 젖은 음식물만 버리면 엉겨 붙어서 썩어 버리니까 사이사이 마른 풀을 얹어야 공기가 잘 통해서 좋은 미생물이 살 수 있거든.”

그는 늘 이런 부탁을 했지만 나는 새겨듣지 않았다. 사실 그쪽은 근처도 가지 않았다. 보기만 해도 기분이 좋지 않았다. 그렇지만 음식물 찌꺼기를 버려야 할 일이 꼭 생기고 만다. 엄마야, 이것들이 다 뭐야! 거름더미에 얄궂은 벌레들이 어찌나 와글거리는지 지진이라도 난 것 같았다.

“아이쿠, 장화를 신었기에 망정이지. 나뭇잎과 흙을 꼭 덮으라고 했던가….”

나는 갈고리를 들어 후다닥 주변의 흙과 짚들을 끌어 모았다. 순간 뱀처럼 퉁퉁한 지렁이가 꿈틀대며 나왔다. 뒤이어 작은 벌레들이 도망가고 굼벵이 같은 벌레들이 떨어져 내렸다. 이놈들이 고기를 먹어치운다는 바로 그 굼벵이들이군. 그저께 버린 닭 뼈가 하나도 없는 걸 보니 이놈들이 다 먹었나 보다. 멀리서 봤을 때는 지저분한 똥 더미처럼 보였는데 가까이서 보니 꽤 흥미로웠다. 이 똥 마을, 생각보다 재미있는걸!

“글쎄, 이 거름더미 입주자들 사이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나름대로 삶의 하모니를 이루고 살지. 이 벌레가 생기면 저 벌레가 오고, 저 벌레를 따라 또 다른 놈이 오고…. 서로 잡아먹고 먹히면서 똥을 싸고, 수억 마리의 박테리아가 거기에 붙어서 번식을 하면서 결국엔 미네랄이 넘치는 기름진 동네로 만들어주는 고마운 이들이지.”

그는 거름더미를 어린 왕자의 소행성 612처럼 이야기한다. 그런 이야기를 듣는 밤이면 나는 그 별의 입주자들이 궁금해졌다. 와싹와싹 뽀작뽀작, 그런 소리를 내면서 음식물을 먹고 붕붕 방귀를 뀌어 댈 것이다. 그때마다 소행성이 폭발음을 내며 흔들릴 것이고, 지렁이는 1초에 1cm씩 키가 크고 새들이 날아와 지렁이와 굼벵이를 잡아채 하늘 멀리 날아갈 것이다. 아무리 그래도 인구 유입이 나날이 10%대로 늘어나는 소행성.

“이런 고기나 빵, 인스턴트 음식물 찌꺼기는 별로 좋지 않아. 어, 이것 봐라. 곰팡이 고깔 꽃이 피었네. 선균들이 실처럼 이어져 있을 때 이런 곰팡이 꽃이 피는데, 지금 딱딱한 나무들을 분해하는 중이라는 뜻이야.”

그는 내가 버리는 음식물 찌꺼기를 사감처럼 검사하고 잔소리를 한다. 질소와 탄소의 비율이 어쩌고 이해 못할 소리도 쏟아붓는다. 그래봤자 똥 더미인데 뭘 그리 까다롭게 구느냐고 화를 내지만 나는 장화를 신고 갈고리로 잎을 쓸어 모아 덮는 일이 점점 더 흥미로워져만 갔다. 벌레인지 박테리아인지 너희들 참 잘도 먹는구나.

이렇게 마른 잎을 덮어 주니 시원하고 좋지? 자, 먹고 미네랄이 듬뿍 든 거름을 만들어줘, 알았지? 벌레들이 내 말을 듣고 열심히 일하고 있으니 그들의 사장님이 된 것처럼 뿌듯해진다. 마당이 있는 사람이라면 음식물 찌꺼기 소행성을 만들어 보라고 권하고 싶다. 개나 고양이의 귀여움보다 훨씬 즐거운 것이 분명한데 문제는 거름더미 속 벌레 키우는 재미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는 것이다.
 
신이현 작가

※프랑스인 남편 도미니크 에어케 씨와 충북 충주에서 사과와 포도 농사를 짓고 살고 있습니다.
#음식물 찌꺼기#거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