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상가(喪家)에서 내 설움에 곡(哭)한다’는 말이 있다. 어릴 적 집안 어른의 빈소에 가면 망자의 배우자와 자녀보다 훨씬 서럽게 통곡하는 이가 꼭 있었다. 어린 마음에도 무척 의아했지만 왜 그러느냐고 물어볼 순 없었다.
어느 정도 나이를 먹고 알았다. 가족보다 더 오열하는 사람의 상당수는 망자와의 인연이나 애통함 때문이 아닌 자신의 감정을 여과 없이 쏟아내는 일종의 투사(投射)를 한다는 걸. 누가 봐도 더 슬플 사람 앞에서 공개적으로 펑펑 우는 일이 고인과 유가족을 얼마나 위하는 행동인지는 모르겠다. 어쨌든 그런 행위가 무리 없이 받아들여지던 시절이 있었다.
노회찬, 최인훈, 황현산 등 우리 사회에 족적을 남긴 인물들이 떠났다. 황현산 평론가는 생전 소셜미디어로 활발히 대중과 소통해 그를 기리는 글이 유달리 많다. 고인과의 추억을 회고하거나 그의 저작물에 대한 칭송이 주를 이루지만 몇몇은 좀 이질적으로 느껴진다.
얼핏 봐도 고인과 오프라인에서 큰 인연이 없어 보이는 사람들이 ‘눈물이 날 것 같아 선생님 책을 못 펴겠다’거나 ‘사진과 이름만 봐도 눈물이 나서 소셜미디어에 못 들어오겠다’고 한다. 그를 시대의 사표(師表) 혹은 유일한 큰어른으로도 치켜세운다. 하지만 고인의 동생 황정산 시인은 장례 후 ‘형을 국민 스승이라 부르는 사람이 있는데 형은 이 말을 좋아하지 않았다. 누구보다 권위나 개인숭배를 싫어했다’는 글을 남겼다.
한 인플루언서(소셜미디어 등에서 많은 추종자를 거느리며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개인)는 ‘황현산 선생이 아버지와 한날한시에 돌아가신 것을 위안으로 삼는다’라고 썼다. 두 망자가 생전 어떤 인연이었는지는 모르겠다. 설사 있다 해도 본인이 상주로 정신없을 와중에 부친의 사망과 법적 타인의 죽음을 엮어 트윗을 날리는 행동이 많은 공감을 살까.
이에 대해 한 트위터리안은 ‘자기 아버지 돌아가셨다고 사진 첨부해서 감성 팔고 있는 것 이해가 안 감. 거기에 황현산 선생 돌아가신 것까지 엮어서’라고 지적했다. 표현이 좀 거칠지만 상례 중 상주가 불특정 다수에게 소셜미디어로 부모의 죽음을 알리는 일이 아직 사회적으로 널리 통용되지 않는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물론 혈족만 절절한 추모와 애도를 할 자격이 있는 건 아니다. ‘개인 계정에 내가 쓰고 싶은 말을 쓰는데 무슨 상관이냐’는 반론도 타당하다. 하지만 공개 소셜미디어에 올린 유명인에 관한 글이 100% 개인 용도일 순 없다. 파급 효과를 몰랐을 리 없으니 내용에 대한 논쟁은 일정 부분 불가피하다.
이런저런 일들을 보면서 디지털 시대의 적절한 애도 방식이 무엇일지 생각해본다. 빈소를 찾든 온라인 조문을 하든 핵심은 진정성이다. 황현산의 책 한 번 안 읽어 보고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쓰거나, 남들에게 ‘대체 무슨 인연이길래 저렇게까지…’란 느낌을 주는 과도한 감정 표현은 자제해야 하지 않을까. 과유불급과 중용의 미덕은 언제나 유효하다.
※R.I.P=Rest in Peace의 줄임말로 영미권에서 망자의 영면을 비는 표현. 한국의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와 유사한 뜻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