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잇따라 대규모 강북 개발계획을 발표하면서 서울 집값이 들썩이고 있다. 박 시장은 19일 목동선 등 신규 4개 경전철 노선 건설계획을 내놓았다. 지난달 언급한 서울 여의도·용산 마스터플랜에 이은 두 번째 비(非)강남권 개발계획이다. 여의도 용산 등에서 불붙은 강북 집값 상승이 이제 경전철 노선 주변 지역으로 확대되며 곳곳에서 집값 호가와 실거래가 최고치가 바뀌고 있다.
“비강남 지역에 인프라를 집중 투자해 강남북 격차를 해소하겠다”는 박 시장의 ‘도시 균형 발전’ 구상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문제는 시기와 실현 가능성이다. 중앙정부는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는 집값을 진화하기 위해 시장을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박 시장은 잇따른 대형 강북 개발계획 발표로 주춤했던 부동산 시장에 기름을 붓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엇박자’ 행정을 펴는 모양새다.
박 시장이 내놓은 목동선, 우이신설 연장선, 면목선, 난곡선 등 4개 경전철은 서울시가 2013년 추진했다가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민간투자자를 구하지 못한 사업이다. 이번엔 2조8000억 원의 사업비를 재정으로 충당한다지만 이를 위해선 중앙정부의 동의가 필수다. 국토교통부가 승인해도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만 최소 6개월에서 1년 반 정도 걸려 모든 것이 박 시장 뜻대로 진행되더라도 착공은 박 시장 임기 마지막 해인 2022년, 완공은 차차기 시장 때인 2028년에나 가능하다.
개발계획은 방향이 맞다면 박 시장 임기가 넘어도 무방할 것이다. 다만 이처럼 대규모 계획 발표가 설익은 상태로 불쑥 나오는 것 아닌지 의심스럽다. 당장 국토부에서 ‘대규모 개발계획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 중앙정부와 긴밀하게 논의해야 한다’는 소리가 나오는 실정이다. 더구나 대규모 건설 등을 ‘토건족의 개발’로 깎아내릴 정도로 소극적이던 박 시장이 3선이 되자마자 기조를 뒤집고 수조 원대의 개발계획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으니, 대선을 겨냥한 선심성 공약(空約)이란 구설이 나오는 것도 당연하다. 자칫 박 시장의 설익은 개발계획이 실수요자들과 서민의 피해로 돌아가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댓글 11
추천 많은 댓글
2018-08-23 02:30:23
왜? 이 정부에는 입만 열면 현실 왜곡,사회 교란이 될만한 이슈들을 무책임하게 내뱉는 인간들이 많은지? 나라에는 무책임하고 해롭지만, 본인으로선 당장 제편 챙기기에 유리하고 지지율 올리기에 안성맞춤인, 가증스럽고 비열할수록 지지층이 커지는걸 때맞춰서 즐기는 인간들!!
2018-08-23 05:47:37
저질 쇼로 현혹하여 이구서 저구석 돌아다니면서 모든것이 지마음되로 될것처럼 떠들고 다니다간 피똥싼다. 이중인격 철면피 처럼 살지말고 정직하고 바르게살자.
2018-08-23 04:44:23
서민들의 피해로 돌아가더라도 그 서민들이 원숭씨를 지지 혔는디 뭐 우짜겄냐? 저넘 찍어준 손가락을 도끼로 찍을 수도 없고 감당해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