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실패하는 정상회담은 없다고 하지만, 그건 잘 준비된 회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일 따름이다. 정상 간 협상이 실패하면 리스크가 매우 큰 만큼 사전 조율 없는 회담은 피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1986년 10월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두 번째 회담은 대표적인 실패 사례다.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만난 두 정상의 회담은 꼬박 이틀간 이어졌지만 어떤 합의도 이루지 못한 채 끝났다. 향후 10년간 모든 핵무기를 완전히 제거한다는 획기적 합의 직전까지 갔지만 미국의 전략방위구상(SDI)을 실험실 연구로 제한하라는 소련의 요구가 끝내 발목을 잡았다. “그 한마디 때문에 모든 걸 수포로 돌리렵니까.”(레이건) “나도 같은 말을 할 수밖에요. 나로선 할 수 있는 건 다 했습니다.”(고르바초프)
두 정상은 다시 만나겠다는 약속도 잡지 못했다. “언제 다시 만나게 될지….” “그건 나도 모릅니다.” 황망히 회담장을 빠져나오는 두 사람의 풀 죽은 얼굴이 카메라에 그대로 잡혔다. 특히 레이건의 몰골은 말이 아니었다. 한 측근은 이렇게 전했다. “그는 극도로 화가 나고 하도 기가 막혀 제정신이 아닌 듯했다.” 고르바초프만 남아 기자회견을 갖고 “실패가 아니다”라고 강변했지만 소용없었다. 언론은 일제히 ‘회담 실패’를 타전했다.
사실 실패는 이미 1년 전 첫 회담에서 예고된 일이었다. 1985년 11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처음 만난 미소 정상은 노변정담 같은 화기애애한 분위기도 연출했다. 하지만 둘의 관심사는 완전히 달랐고, SDI 문제는 전혀 견해차를 좁힐 수 없었다. 사흘간의 ‘교제’ 끝에 나온 공동성명에는 평화 정착과 군축을 위해 노력한다는 원론적 합의만 들어 있었다. 하지만 일단 출발은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두 정상 간엔 친필 서신이 빈번히 오가고 양국 국민을 향한 신년인사가 TV로 중계됐지만 그 이상의 진전은 없었다. 실망감에 지쳐갈 즈음 고르바초프가 제안한 것이 레이캬비크 회동이었다. 의전이나 격식 없이 단둘이 만나 돌파구를 찾자는 데 레이건도 동의했다. 결과는 참담했고 한동안 상호 비난전이 이어졌다.
그러나 역사는 레이캬비크 회담을 냉전 종식의 출발점으로 기록한다. 속내를 탈탈 털어내며 막판까지 몰고 간 논쟁 덕분에 두 정상은 어디까지가 가능한 것인지 확인했다. 고르바초프는 핵 군축과 SDI 연계전략을 포기했고, 레이건도 대소 강경정책을 누그러뜨렸다. 그 결과 1년 뒤인 1987년 12월 두 정상은 미 워싱턴에서 중거리핵전력(INF) 폐기 조약에 서명했다.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다. 그런데 양측은 이제야 본격 실무협상을 벌인다고 한다. 지난주 평양에 다녀온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갈 길이 멀다”면서도 내주엔 합의문안 조율에 들어간다고 했다. 가능한 수준에서 초안을 만들고 정상 간 담판으로 넘기겠다는 얘기다. 지난해 싱가포르 1차 회담 때와 다르지 않다. 시간은 더 촉박하다. 그래서 적당한 타협, 막판 졸속합의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차 회담 전 “성과가 없으면 협상장을 떠나겠다”고 했지만 지금은 “잘될 것”이라며 기대감만 부추기고 있다. 물론 회담 결렬의 리스크는 결코 작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두고두고 후환을 남길 불완전한 합의보다는 끝장까지 가보는 ‘눈부신 실패’가 나을 수 있다. 비건 대표도 방북 전 강연에선 “실패는 선택사항이 아니라는 진부한 말이 있지만, 실패는 결과가 아닌 선택의 문제일 수 있다”고 했다. 한낱 레토릭일 수만은 없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