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로 코드 인사가 이른바 보수정권, 진보정권을 막론하고 공공연히 행해지면서 공적 인사의 원칙과 기준이 무너졌고, 그로 인한 문제의 심각성이 간과돼 왔다. 대통령의 인사권을 포함하여 대통령의 모든 권한은 주권자인 국민을 위한 것이고 국민을 위해 행사해야 하며, 특정한 정파적 이해관계가 기준이 돼서는 안 된다.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서 모든 인사를 새로 해야 한다는 주장은 민주주의의 본질에 반한다. 공적 인사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국민을 위해 일할 수 있는 인재의 선발이며, 그 기준은 업무능력(전문성)과 도덕성이라는 점은 누구나 인정한다. 정파적 친소관계는 그 어느 기준에도 해당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를 근거로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불이익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화이트리스트를 만들어 혜택을 주는 것도 민주주의와 정의에 반하는 것이며, 국가경쟁력을 좀먹는 것이다. 과거 정권의 잘못된 관행을 핑계로 스스로의 잘못을 덮고 정당화하려는 시도는 국민을 더욱 실망시킬 뿐이다.
차진아 객원논설위원·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