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평인 칼럼]번지수 잘못 찾는 임시정부 기념 되지 않으려면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3월 13일 03시 00분


임시정부 100주년 앞두고… 김원봉 이동휘 등에 엉뚱한 조명
남로당 폭동까지 항쟁으로 미화… 누가 임정에 어깃장 놓았는지
제대로 알고 제대로 기념해야

송평인 논설위원
송평인 논설위원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을 앞두고 임정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사를 보려는 시도가 일고 있는 것은 반가운 현상이다. 단, 임정의 역사에서 누가 임정에 어깃장을 놓았는지는 똑똑히 알고 임정을 강조해도 강조해야 할 것이다.

1919년 수립된 상하이 임시정부에 최초의 반기를 든 것은 베이징을 기반으로 한 신채호 세력이다. 이승만의 ‘외교적 노력에 의한 독립’론을 문제 삼아 그를 대통령으로 선임한 임정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 반기의 이유였으나 그 밑바닥에는 ‘적에 대한 파괴의 반면(反面)이 곧 독립’이라는 사상이 자리 잡고 있었고 그것이 의열단식 투쟁을 지지한 ‘조선혁명선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반기를 든 것은 연해주를 기반으로 한 이동휘의 한인사회당 세력이다. 상하이 임정이 수립 직후 가장 심혈을 기울인 것은 이동휘가 중심이 돼 만든 대한국민의회와의 통합이다. 그 결과 이동휘가 임정에 국무총리로 부임하면서 통합정부가 구성됐다. 그러나 이동휘가 이승만, 안창호와 갈등을 빚다 1921년 사임하고 연해주로 돌아가면서 통합은 없었던 것이 됐고 이동휘 세력은 반(反)임정의 길을 걷게 된다.

불만이 있다고 해서 신채호나 이동휘처럼 3·1운동의 피로 세워진 임정에 다 어깃장을 놓은 것은 아니다. 안창호 역시 임정에 불만을 갖고 있었으나 임정 주변을 떠나지 않고 임정의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노력했으니 그것이 국민대표회의 소집과 유일당 운동이다. 안창호는 1923년 국민대표회의 의장을 맡아 임정을 새롭게 개조할 것인지, 아니면 아예 없애고 새로 만들 것인지 논의를 이끌었다. 비록 합의에 이르지 못해 실패로 끝났지만 실패한 시도마저도 임정을 옹호하고 임정을 중심으로 통합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국민대표회의에서 실패한 안창호는 다시 유일당 운동으로 통합에 나섰다. 유일당 운동은 대통령제에서 내각책임제로 바뀐 임정에 맞춰 이당치국(以黨治國) 체제를 갖추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 임정의 맏형이었던 이동녕도 동참했다. 그러나 유일당 운동은 1928년 코민테른이 12월 테제로 사회주의 세력에 좌우합작 거부를 지시함으로써 끝이 났다. 좌파 세력은 독자적으로 유호한국독립운동자동맹을 결성했고 이에 안창호와 이동녕은 우파만으로 한국독립당을 조직해 대응할 수밖에 없었다.

세 번째로 등장한 반임정 세력은 김원봉의 조선민족혁명당이다. 1932년 윤봉길 의거 직후 임정은 상하이를 떠나 8년간의 유랑 길에 오른다. 김구가 일본의 집요한 추적을 따돌리는 동안 임정과 한국독립당의 관계도 멀어졌다. 그 틈을 타 의열단을 중심으로 임정 주변의 정당들이 통합한 뒤 조선민족혁명당을 구성해 반(反)임정, 반(反)김구를 외쳤다. 이에 김구는 한국국민당을 새로 창당해 가까스로 임정을 지켰다. 다행히 조선민족혁명당에 가담한 조소앙 세력과 이청천 세력이 얼마 지나지 않아 탈퇴해 김구 측에 합세함으로써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김구는 충칭에서 중국 국민당 장제스의 압력으로 김원봉과 좌우합작을 하지만 두 세력은 끝까지 물과 기름처럼 따로 놀았다. 조선민족혁명당의 당군(黨軍)인 조선의용대의 태반이 옌안으로 가 중국 공산당 팔로군에 합세하는데도 김원봉이 충칭에 남은 것은 조선의용대에서 주도권을 잃었기 때문이다. 충칭 임정에서 겉돌며 자기 세력 확장에만 몰두하던 김원봉은 해방정국에서 최종적 열세(劣勢)를 확인하고 옛 동지인 옌안파에 기탁하려 북한으로 넘어간다.

마지막 반임정 세력은 해방정국에 등장하는 박헌영의 공산주의 세력과 이에 놀아난 건국준비위원회의 여운형이다. 그들을 반임정 세력으로 규정한 것은 환국한 김구 측이라는 사실을 지적하는 것으로 충분하겠다.

김구가 환국 후 연 첫 임정 국무회의에 내각 외 인사로 유일하게 참석한 사람은 1942년 김구가 주미외교위원장에 임명한 이승만이다. 이승만은 임정의 초대 대통령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나오는 표현인 ‘임정의 법통(法統)’을 따지자면 이승만 안창호 이동녕 김구 등이 그 법통을 잇거나 지킨 지도자들이다. 안창호와 김구, 이승만과 김구의 경쟁구도에서 발생한 내부의 시비는 일단 제쳐두자. 지금은 누가 임정의 기치를 높이 들었고 누가 임정에 어깃장을 놓았는지 제대로 알고 제대로 기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송평인 논설위원 pisong@donga.com
#임시정부 100주년#안창호#김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