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 날을, 조국을 원수들이 짓밟아 오던 날을, 맨 주먹, 붉은 피로 원수를 막아내어…” 어릴 때 6월 25일만 되면 부르던 노래였다. 6·25는 우리 역사에서 가장 비참하고 슬펐던 전쟁이다.
전쟁 기간 중에는 엄청난 폭염, 강력한 태풍, 겨울 호우 등이 변수가 됐다. “전쟁 초기에 미군은 적의 총탄 외에도 더위로 많은 목숨을 잃어야 했다. 최고 38도를 넘는 무더위 속에서 싸워야만 했던 한국에서의 무더위는 전투에서의 승패를 가르는 주요한 요인이었다.” 6·25 참전 전사가(戰史家) 퓰러의 고백이다. 1950년 8월, 미군은 마산에 배치된 미 25사단으로 하여금 공세로 전환하게 해서 대구 정면의 북한군 주력을 분산하기로 한다. 그러나 절대적인 장비와 병력의 우세에도 불구하고 미군은 살인적인 폭염과 북한의 게릴라 전술에 고전했다. 결국 미군의 최초 공세작전이었던 킨 전투는 폭염으로 실패하고 만다.
북한에 밀리던 유엔군이 전세를 역전시킨 것이 인천상륙작전이다. 인천상륙작전을 하기 위해서는 일본에 있는 미군 전함들이 인천으로 이동해야 했다. 그런데 이미 1950년 9월 초 태풍 제인의 영향으로 일본 고베에 정박하고 있던 상륙함대의 배 7척이 파괴되었다. 두 번째 특급 태풍인 케지아가 9월 7일에 마리아나 해협에서 일본 쪽으로 진행하고 있었다. 케지아는 인천상륙작전 전체를 침몰시킬 수 있었다. 미군 기상대는 미리 함대가 출항하면 태풍의 좌측반원에 들어가므로 항해가 가능하다고 조언했다. 맥아더는 9월 11일에 일본에 있던 전 함대를 인천으로 진군하도록 명령했다. 거친 파도에 시달렸지만 함대는 인천에 도착했고 상륙작전은 성공한다.
맥아더는 인천상륙작전 성공으로 조기에 전쟁을 종결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에 미 해병1사단을 다시 원산에 상륙시킨다. 해병1사단은 장진호 서쪽으로 진격하여 미 8군과 합류하기로 했다. 그런데 이 해 겨울은 너무 일찍 무섭게 찾아왔다. 11월 10일에는 영하 18도로 떨어졌고, 15일에는 영하 26도까지 내려갔다. 갑자기 기온이 내려가자 병사들은 추위로 인한 쇼크를 일으켰다. 수분이 들어있는 음식물은 모두 딱딱해졌다. 칼빈 소총은 얼어붙어 발사가 안 되기 일쑤였다. 혹한으로 인한 해병1사단의 병력손실은 7313명이었다. 중공군은 피해가 더 심했다. 9병단에서만 5만1000명의 병력손실이 발생했다. 기록적인 혹한이 좌우한 장진호전투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