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회 맞는 전국체전[횡설수설/서영아]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0월 1일 03시 00분


개화기, 조선인에게 근대 스포츠는 낯설었다. 어느 양반이 땀 흘리며 정구를 하는 서양인을 보고 “그런 일은 하인이나 시킬 것이지”라며 혀를 찼다던가. 하지만 스포츠는 학교 체육을 중심으로 속속 도입됐고, 점차 나라 잃은 조선인들의 한을 분출하는 장으로 정착해간 것 같다.

▷1920년 11월 배재고보 운동장. 하얀 두루마기를 입고 야구모를 쓴 월남 이상재 선생이 시구를 하는 장면이 전해진다. 조선체육회(대한체육회의 전신) 주도로 열린 ‘제1회 전조선야구대회’다. 올해 100회를 맞는 전국체전의 효시가 됐다. 이듬해에는 정구와 축구를 더해 ‘조선체육대회’로 이름을 바꿨다. 당시 조선 민중은 스포츠에 열광했다. 대회 입장권이 대인 10전, 소인 5전이었고 입장권 판매로만 200원의 수입을 얻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관중 2000명 이상이 들어찼다는 계산이다.

▷조선체육회는 일제가 만든 ‘조선체육협회’에 대항해 1920년 7월 민족진영이 결성했다. 그해 4월 1일 창간된 동아일보의 변봉현 기자는 창간 열흘 뒤인 10일부터 3회에 걸쳐 ‘체육기관의 필요를 논함’이란 제하의 칼럼을 써서 분위기를 띄웠다. “8월 만국의 운동경기대회인 올림픽이 벨기에 수도 브뤼셀에서 열리는데, 국제 올림픽 대회에 왜 우리가 참가할 수 없는가. 권리가 없는 게 아니고 사용치 않음이다”라는 내용이다. 조선의 이름으로 조선의 청년들이 나가 실력을 겨루자는, ‘독립하자’는 말을 우회적으로 한 것이다.

▷현대사의 굴곡 속에서 우여곡절도 많았다. 전국체전은 1938년 조선체육회가 강제 해산되면서 중단됐다. 1945년 다시 열린 26회 대회에는 손기정 선수가 기수로 나섰다. 1955년 시작된 성화 봉송 첫 주자도 물론 선생이었다. 6·25전쟁 발발로 1950년 대회는 열리지 못했지만 1951년엔 광주에서 약식이나마 개최됐다. 1980년에는 5·18민주화운동으로 광주에서 열릴 예정이던 대회가 전북(이리 전주 군산)에서 분산 개최됐고, 1983년 대회 중에 아웅산 폭탄테러 사고가 나자 폐회식은 ‘북괴 만행 규탄 체육인 궐기대회’로 포장됐다. 메이저리그나 유럽축구 등 볼거리가 많아지면서 체전에 쏠리는 관심은 예전 같지 않지만, 여전히 전국 유망 선수들을 키워내는 터전이다.

▷4일 서울 잠실경기장에서 제100회 전국체전이 개막한다. 일주일간 2만5000여 선수가 47개 종목을 놓고 경합한다. 불꽃축제 등 대형 공연도 진행될 예정이라는데, 화려한 행사 이전에 ‘건민(健民)과 저항’을 창립이념으로 했던 100년 전 선조들의 뜻을 한 번씩 되새겨 보는 건 어떨까.
 
서영아 논설위원 sya@donga.com
#전국체전#조선체육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