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첫 교육개혁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수시에 대한 신뢰가 형성될 때까지 서울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수시와 정시 비중의 지나친 불균형을 해소할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학생부종합전형 개선방안을 11월까지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공정하고 단순한 입시’를 강조하며 교육개혁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다음 달 중 학종 개선 방안과 함께 서울 지역 대학의 정시 비율 상향 방안을 발표한다.
학종 위주 수시전형은 그 공정성에 대한 불신이 커져 수능 위주 정시전형과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수십, 수백만 학생의 미래가 달린 입시를 한 달 안에 바꾸려는 과속은 우려스럽다. 2022학년도 대입은 지난해 8월 국가교육회의→대입개편특위→공론화위원회를 거치며 1년간 공론화 끝에 ‘정시 비율 30% 권고’로 정해졌다. 이에 맞춰 고교를 선택한 학생들은 대통령 지시 한마디에 제도가 요동치는 상황이 혼란스럽다.
문 대통령은 “핵심적인 문제는 서울 상위권 대학의 학종 비중이 그 신뢰도에 비해 지나치게 높다는 데 있다”며 조국 사태로 드러난 교육 불공정의 책임을 대학에 돌렸다. 공교육이 부실해 ‘부모 스펙’이 입시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간과한 채 불공정 교육의 원인을 입시와 대학에서만 찾는다면 교육개혁의 출발점이 한참 잘못된 것이다. 더욱이 지난 10년간 학종이 급격히 확대된 것은 이를 대학재정지원사업과 연계한 교육부의 압력이 큰 영향을 미친 결과다.
문 대통령은 또 ‘교육특권’이라며 고교 서열화를 지적했고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25년 고교학점제 도입과 함께 자율형사립고·외고·국제고를 일반고로 일괄 전환하겠다”며 폐지를 공식화됐다. 자사고 등을 교육 불공정성 해소 요구의 희생양으로 삼는 듯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가 아닐 수 없다. 이런 결정들은 하나같이 고교 교육의 근간을 바꾸는 일인데 이렇게 서두르는 것에 대해 교육계에선 내년 4월 총선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거세다.
조국 사태가 교육개혁의 필요성을 불러왔다 해도 그 방향과 속도를 정략적으로 결정해선 안 된다. 교육정책의 일관성을 포기하면서까지 교육개혁이 불가피하다면 대학의 자율성과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 양성이라는 본질로 돌아가 시작해야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대학에 학생 선발권을 돌려주고, 교사의 경쟁력과 입시제도의 투명성을 함께 높여야 가능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