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가자데’와 ‘나슬레 세봄’[글로벌 이슈/하정민]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1월 22일 03시 00분


‘아가자데’라 불리는 이란 지도층의 후손들은 소셜미디어에 스포츠카를 타고 호화 파티를 즐기는 모습을 노출해 이란 2030세대의 분노를 사고 있다. ‘국부’로 통하는 호메이니(오른쪽 아래)의 증손녀도 명품백 구입으로 구설수에 올랐다.
‘아가자데’라 불리는 이란 지도층의 후손들은 소셜미디어에 스포츠카를 타고 호화 파티를 즐기는 모습을 노출해 이란 2030세대의 분노를 사고 있다. ‘국부’로 통하는 호메이니(오른쪽 아래)의 증손녀도 명품백 구입으로 구설수에 올랐다.
하정민 국제부 차장
하정민 국제부 차장
1967년 이란 왕 무함마드 레자 팔레비가 자신을 황제 ‘샤한샤’, 아내 파라를 황후 ‘샤바누’로 추대했다. 두 사람은 자크 다비드의 그림으로 유명한 프랑스 나폴레옹 황제와 조세핀 황후의 1804년 대관식을 재연했다. 그는 무릎을 꿇은 아내의 머리에 1541개의 보석이 박힌 관을 씌웠다. 뒤로는 비밀경찰 사바크를 통해 반대파를 탄압하고 살해했다. 12년 후 2500년 역사의 페르시아 군주제가 이슬람 혁명으로 무너졌다.

이제 부패와 폭정을 일삼는 전제군주는 없다. 4년 임기의 대통령도 직접 뽑는다. 이면의 실상은 지금의 이란이 당시와 얼마나 다른지 돌아보게 한다. 대표적 예가 혁명 원로의 후손, 즉 이란판 금수저 ‘아가자데(Agazadeh)’의 행태다. 계속된 서방의 경제 제재로 민중의 삶은 피폐해졌지만 최고급 자동차와 장신구, 음주와 향락이 난무하는 호화 파티를 즐긴다. 특히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이를 과시하는 몰상식함으로 큰 공분을 사고 있다.

국부(國父)격인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의 증손녀 아테페는 영국 런던에서 3800달러(약 440만 원)짜리 돌체앤가바나 가방을 들었다. 사에드 톨루이 전 혁명수비대 장군의 아들 라술은 딸의 생일 파티를 위해 애완용 호랑이를 동원하고 캐딜락을 몰았다. 아흐마드 소바니 전 베네수엘라 주재 이란 대사의 아들 사샤는 세계 각지에서 반라의 여자들을 대동하고 파티를 즐긴다. 그의 인스타그램 추종자만 약 120만 명. 몇몇 아가자데도 ‘테헤란의 부유한 아이들(Rich kid in Tehran)’이란 인스타 계정을 만들어 부를 자랑하기 바쁘다.

내로남불과 언행불일치는 필수. 통신 재벌 하미드 아레프(42)는 우정·통신·전화담당 장관, 부통령 등을 지낸 무함마드 레자 아레프의 아들이다. 그는 2017년 인터뷰에서 성공 비결로 ‘좋은 유전자’를 꼽았다. 한 해 뒤 하산 로하니 대통령도 33세 사위를 정부 연구소장에 임명했다가 비판이 커지자 사퇴시켰다. 부모도 한결같다. 로하니 대통령은 사과하지 않았고 아레프 전 부통령은 “왜곡된 인터뷰”라고 주장했다. 톨루이 전 장군은 아들의 호화 생활을 폭로한 성직자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 극소수 왕족이 ‘독점’하던 부가 소수의 혁명 주역과 후손이 ‘과점’하는 체제로 바뀌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이란은 8000만 인구 가운데 71.6%가 39세 이하인 젊은 나라다. 이슬람혁명과 이어진 8년간의 이란-이라크 전쟁 이후 정부가 출산을 적극 장려한 결과다. 왕조 시절의 1세대는 대부분 고인이 됐고 혁명 주역 2세대는 아직도 신정일치 이념만 부르짖는다. 절대다수의 2030 젊은이들은 ―9.5%로 추정되는 지난해 성장률, 20%를 넘나드는 고물가와 고실업, 생필품 품귀가 나아지기만을 바란다. ‘제3세대’를 뜻하는 페르시아어 ‘나슬레 세봄’으로 불리는 이들은 2009년 강경파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대통령 당선 당시 선거 부정 의혹 시위, 2017년 말과 지난해 11월 경제난에 따른 시위, 정부의 우크라이나 민항기 오인 격추로 인한 이번 달 시위를 모두 주도했다. 나슬레 세봄의 더 큰 분노가 언제 폭발할지 모른다.

불의(不義)로 가득 찬 정권을 전복시키는 건 일종의 시대정신이다. 41년 전의 혁명은 명분이 있었다. 그렇다 해도 새 집권세력이 늘 정의(正義)를 뜻하지 않음을 현재의 이란이 보여준다. 미국에 망명 중인 팔레비왕의 장남은 15일 워싱턴에서 “이란 상황이 혁명 3개월 전과 비슷하다. 몇 달 안에 정권이 무너질 수 있다”고 연설했다. 특히 왕정복고를 바라지 않으며 민주 정부 수립에 기여하겠다고 했다.

쫓겨난 왕족이 민주주의를 거론하며 정권 타도를 외치는 건 희극일까 비극일까. 경위야 어찌됐든 그 토양을 마련해준 건 먹고사는 문제를 내팽개친 현 정부다. 지난해 11월 시위는 유류세 인상으로 발발했다. 세계 4위 원유보유국이 정제시설 부족으로 일부 휘발유를 수입하는 상황까지 몰린 탓이다. 당시 비무장 시위대를 향한 발포로 1500명 이상이 숨졌다. 팔레비 정권의 정적 탄압과 무엇이 다른가. 이래도 혁명 후 41년간 늘 그랬듯 ‘이게 다 미국 탓’이라고 할 수 있을까.

하정민 국제부 차장 dew@donga.com
#이란#아가자데#나슬레 세봄#전제군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