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의 제안, 전세계가 주목했다[이진한의 메디컬 리포트]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3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한 의료진이 대구 서구 구민운동장에 마련된 드라이브스루 선별진료소에서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동아일보DB
한 의료진이 대구 서구 구민운동장에 마련된 드라이브스루 선별진료소에서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동아일보DB
이진한 의학전문 기자·의사
이진한 의학전문 기자·의사
생활치료센터와 드라이브스루, 워크스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저지한 대표적인 방안이다. 이들은 보건 당국이 아닌 의료계가 먼저 제안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차량을 이용한 코로나19 진단 검사인 드라이브스루는 김진용 인천의료원 감염내과장이 처음 제안했다. 칠곡경북대병원, 영남대병원, 경기 고양시 덕양구보건소 등에서 도입해 빠른 검사 속도로 확진자 확산을 막는 데 기여하고 있다. 드라이브스루는 미국 일본 등 각국에서 도입하고 있다.

공중전화 박스처럼 생긴 곳에 들어가 검사하는 워크스루는 보라매병원이 지난달 10일 시작했다. 이달 초에는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이 이를 시작해 미국 워싱턴포스트와 일본 아사히신문에 소개됐다. 환자들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의료진은 감염 위험을 줄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경증환자만 입소하는 생활치료센터는 어떤가. 지난달 18일 이후 대구에서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늘자 이들을 제때 입원시킬 방법이 없었다. 당시 보건복지부 간부가 대구의 한 병원을 찾아가 “병상이 이렇게 많은데 왜 빨리 이들을 수용할 생각을 안 하느냐”며 닦달했다. 그때 해당 병원 의료진들은 밀접 접촉자를 만나 자가 격리된 상태였다. 병원장은 “환자를 입원시킨들 이들을 돌봐줄 의료진이 없다”고 반박했다. 당시 보건 당국 관계자들이 의료계 현실을 너무 모른다는 지적이 나왔다.

보건 당국은 대한의사협회 등이 제안한 생활치료센터 아이디어를 수용했다. 지난달 말에는 정부 관계자들이 대구로 내려가 의료진과 대책회의를 가졌다. 지난달 29일에는 10개 국립대 병원장들이 머리를 맞댔다. 이후 방역 당국의 대처는 눈에 띄게 달라졌다. 이달 2일 대구의 중앙교육연수원, 4일 문경 서울대병원인재원이 생활치료센터로 탈바꿈했다. 당시 대구시는 체육관이나 운동장, 대규모 캠핑카 시설 등을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었다.

전국 곳곳에 생활치료센터가 생기면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고도 입원하지 못했던 2000여 명의 환자를 수용할 수 있게 됐다. 만약 외국처럼 큰 체육관에만 집단 수용했다면 증상이 악화돼도 어떻게 해볼 도리도 없이 사망자가 늘었을 것이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올 1월부터 중국 입국자 금지 필요성을 주장했다. 정부는 우한 지역에서 오는 입국자만 입국을 금지했다. 아쉽게도 중국 입국 금지가 부분적으로만 이뤄져 국내 확진자 급증의 빌미를 줬다. 이제는 유럽과 미국에서 확진자가 크게 늘고 있어 2주간 자가 격리 조치 등을 취하고 있다. 진작 시행했어야 하는 조치였다.

의료진의 자발적 참여도 코로나19 방역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성구 대구시의사회장은 대구지역 의사들의 도움을 요청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흡사 조선시대 의병들처럼 전국에서 의사 250여 명이 대구로 달려갔다. 간호사 1300여 명도 도움의 손길을 보냈다.

이를 지켜본 한 의사는 “일본의사회는 의사들의 감염 우려 때문에 검체 검사를 안 하겠다고 선언했다”며 “한국 의사들은 무식하고 용감해서 ‘내가 안 하면 누가 하겠느냐’며 위험한 검체를 검사하고 환자들을 치료한다”고 했다. 대구에서 자원봉사를 하는 어느 의사는 “내가 코로나19에 걸리는 것은 괜찮은데 다른 의료진이 자가 격리되고 환자들이 치료를 못 받을까 봐 걱정된다”고 했다.

기자는 최근 대구에서 의료봉사를 하면서 중환자실이 없어 전북대병원에 이송한 87세 중증환자를 이흥범 중환자실 의료팀이 살려낸 것을 보았다. 가족들에게 마음의 준비를 하라고 했던 환자도 대구 의료진의 땀과 가족의 헌신으로 퇴원을 앞두고 있다. 이처럼 헌신하는 자세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코로나19 극복에 나선 의료진에게 응원의 박수를 보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다르다. 보건 당국은 최근 17세 고등학생의 사망 원인이 검사실의 오염이라며 영남대병원 검사실을 즉각 폐쇄했다. 진단 키트 오류 가능성 등을 감안하지 않은 섣부른 중간조사 발표로 병원 검사 전체의 신뢰성을 떨어뜨렸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부는 요양 병원이 명령을 위반해 집단 감염이 발생할 경우 손해배상 청구를 검토하겠다고도 했다. 의료계는 토사구팽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방역 실패가 바이러스의 최전선에 있는 의료진의 잘못은 아니지 않은가. 정부와 의료계가 함께 존중하며 협력해야 할 때다.

이진한 의학전문 기자·의사 likeday@donga.com
#생활치료센터#드라이브스루#워크스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