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해도 가야 하는 길[현장에서/강은지]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5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17일 서울 마포구의 한 골목길. 음료가 담긴 일회용 컵들이 다른 쓰레기와 함께 뒤섞여 있다.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
17일 서울 마포구의 한 골목길. 음료가 담긴 일회용 컵들이 다른 쓰레기와 함께 뒤섞여 있다.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
강은지 정책사회부 기자
강은지 정책사회부 기자
지난해 9월 ‘줍깅’을 경험했다. 줍깅이란 산책을 하면서 쓰레기를 줍는 운동을 말한다. 당시 환경단체가 주관한 ‘플라스틱컵 줍깅’ 행사가 서울 마포구 경의선 숲길에서 열렸다. 참가자 50여 명과 함께 한 시간 동안 일회용 컵 1253개를 수거했다. 공원 벤치 아래, 담벼락 위, 전봇대 주변…. 길에 나뒹구는 일회용 컵이 얼마나 많은지 새삼 놀랐다. 약 8개월 만인 지난주 같은 장소를 둘러봤다. 변한 게 하나도 없었다.

일회용 컵의 재질인 종이와 플라스틱은 좋은 재활용 자원이다. 재질별로 분리수거하면 다양한 용도로 다시 태어난다. 현실은 안타깝다. 음료를 테이크아웃하는 문화가 보편화하면서 일회용 컵은 급증하는데, 재활용되는 컵은 20개에 한 개꼴이다. 마구잡이로 버려진 일회용 컵은 무용지물이다. 그냥 쓰레기가 된다.

20일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 도입을 위한 자원재활용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자 환경단체들은 일제히 환영 메시지를 냈다. 보증금제가 이 문제를 풀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일회용 컵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컵을 쓸 때 보증금을 내고, 컵을 반환하면 돌려받는 것이 핵심이다. 2년의 준비 기간이 있지만 그 과정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과거 각양각색이던 소주·맥주병의 ‘표준 용기’를 지정하고 반환 방식을 도입하는 데도 진통이 컸다. 소비자들은 빈 병 회수를 거부하는 소매점에서 불쾌감을 느꼈고, 가게들은 빈 병을 보관할 공간을 따로 만드느라 불편했다.

일회용 컵 보증금이 적용되면 소비자는 당장 비용 부담이 늘어난다고 느낄 것이다. 아무 데나 휙 버리던 컵을 반환할 곳을 찾기도 불편할 것이다. 쓰고 난 컵을 받아야 할 업체들도 관리가 쉽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까지 해서 일회용 컵을 관리해야 하느냐”고 질문할 수 있다. 답은 ‘그렇다’다. 일회용품 사용을 까다롭게 하는 건 한국뿐이 아니다. 이미 미국, 독일, 호주 등 16개국은 페트병, 캔, 유리, 종이팩 등 일회용기에 보증금을 물리고 있다. 아일랜드는 2021년부터 일회용 컵에 아예 ‘라테세’라는 이름으로 개당 0.25유로(약 340원)의 세금을 부과할 예정이다. 이유는 명확하다. 더 이상 버릴 곳이 없어서다.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일회용품은 바다로, 산으로 흘러가 결국 우리에게 되돌아온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일회용품 사용에 다시 관대해지는 분위기가 확산되는 걸 보면 공감이 가면서도 한편으로는 걱정스럽다. 일회용품 사용은 감염을 예방하는 차원에선 긴급하게 필요한 조치다. 그러나 ‘포스트 코로나’ 사회에서도 계속 이어갈 수는 없다. 다회용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하면서 일회용품을 서서히 퇴출할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일회용 컵 보증금제도 그중 하나가 될 것이다.

강은지 정책사회부 기자 kej09@donga.com
#줍깅#포스트 코로나 시대#일회용품#환경 보호#일회용 컵 보증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