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아야 소피아, 과거사… 중동의 反터키 감정이 들끓는다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7월 23일 03시 00분


[글로벌 현장을 가다]
에르도안의 패권주의 행보 우려… 아랍과 언어 인종 역사 달라 견원지간
리비아서 이집트 vs 터키 대리전
사우디, 오스만 역사 지우기 한창

중동 내 영향력 확장에 나선 터키에 대한 아랍 국가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1일 마스크를 쓴 터키 정부 관계자들이 최근 박물관에서 모스크로의 변경이 결정된 ‘아야 소피아’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이스탄불=AP 뉴시스
중동 내 영향력 확장에 나선 터키에 대한 아랍 국가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1일 마스크를 쓴 터키 정부 관계자들이 최근 박물관에서 모스크로의 변경이 결정된 ‘아야 소피아’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이스탄불=AP 뉴시스
이세형 카이로 특파원
이세형 카이로 특파원
19일 오후(현지 시간) 이집트 수도 카이로의 예수피난교회를 찾았다. 아기 예수와 그 가족이 유대 헤롯왕의 박해를 피해 이집트로 피신해 왔을 때 머물렀던 자리에 세워진 건물로 중동에 기반을 둔 기독교 종파 ‘콥트교’의 성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전에는 늘 순례자와 관광객으로 붐볐지만 이날 유달리 한산했다. 해외 관광객이 크게 줄었고, 이집트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예배를 금지한 탓이다.

방문객이 거의 없는데도 교회 주변에는 평소보다 많은 경찰이 있었다. 이들은 방문자에게 이름, 직업, 거주지, 방문 목적 등을 꼬치꼬치 캐물었다. 동행한 이집트인 지인은 “코로나19 사태로 경제난이 심하다 보니 콥트교인을 대상으로 한 적대 행위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콥트교도는 이집트 인구 약 1억 명 중 10∼15%를 차지한다. 수니파 무슬림이 절대 다수인 나라에서 얼핏 많은 핍박을 받을 것 같지만 교인 반응은 달랐다. 교회에서 만난 중년의 콥트교도에게 “코로나19 사태 뒤 무슬림이 콥트교인에게 적대적이지 않으냐”고 조심스레 물었다.

그는 “원리주의자가 많고 교육 수준이 높지 않은 일부 시골이라면 모를까 카이로 같은 대도시에서는 그렇지 않다. 이집트 무슬림은 세속주의 성향이 강하고 타 종교에 관용적”이라고 답했다. 이어 “터키처럼 교회 건물을 이슬람 사원으로 바꾸는 일은 이집트에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이집트는 터키와 다르다”
평범한 카이로 시민이 외국 기자에게 언급할 정도로 최근 이집트인들은 터키의 일거수일투족에 날을 세우고 있다. 특히 지지율 하락에 직면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비잔틴제국 문화유산의 정수인 1500년 역사의 성소피아 박물관을 모스크로 개조하려 하고, 이집트와 국경을 맞댄 리비아 내전에 터키가 개입하려는 것에 대한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정부 관계자, 언론인, 회사원 등 이집트인과 중동 정세에 관한 대화를 나누다 보면 결국 터키 비판으로 마무리될 때가 많다.

서구 시각에서 보면 에르도안 대통령과 압둘팟타흐 시시 이집트 대통령은 ‘그 나물에 그 밥’ 수준의 권위주의 지도자일 수 있다. 하지만 상당수 이집트인은 터키와의 비교를 불쾌하게 여긴다. 한때 이집트보다 세속주의 경향이 더 강했던 터키가 2003년 에르도안 집권 후 급격한 보수화 길을 걷고 있지만 이집트는 여전히 개방적이라는 의미다.

이집트인들은 지난해 시시 대통령이 카이로 인근 신(新)행정수도의 중동 최대 규모 콥트교회 개관식에 직접 참석해 축하 메시지를 전달한 것을 언급하며 이집트의 개방성과 관용을 자랑한다. 실제 이집트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후 전국 각지의 콥트교회에 대한 경비를 강화했다. 오랜 역사를 지닌 유대교 회당의 개·보수 역시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집트 최고 이슬람 성직자(그랜드 무프티)인 샤우키 알람은 17일 “무슬림은 선지자 무함마드로부터 교회를 보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는 ‘전쟁 중에도 사원을 파괴하거나 수도자들을 죽이지 말라’고 했다”며 아야 소피아의 모스크 개조를 거세게 비판했다. 종교 지도자가 타국 정책을 직접적으로 비판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그만큼 이집트 사회 전반에 반(反)터키 감정이 상당하다는 의미다.

○ 이집트 vs 터키, 리비아서 사실상 대리전
압둘팟타흐 시시 이집트 대통령(오른쪽)이 리비아 동부 군벌 리비아국민군(LNA)의 칼리파 하프타르 사령관과 대화를 나누며 걷고 있다. 카이로=AP 뉴시스
압둘팟타흐 시시 이집트 대통령(오른쪽)이 리비아 동부 군벌 리비아국민군(LNA)의 칼리파 하프타르 사령관과 대화를 나누며 걷고 있다. 카이로=AP 뉴시스
이집트의 반터키 감정을 더 키우는 요인은 이웃 리비아에 대한 터키의 장악력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집트와 리비아는 1135km의 긴 국경을 맞대고 있다.

리비아는 2011년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 사망 후 사실상 중앙정부가 붕괴됐다. 명목상으로는 수도 트리폴리와 서부 인근을 장악한 이슬람 원리주의 성향의 통합정부(GNA)가 유엔의 승인을 얻었다. 하지만 동부 유전지대를 장악한 세속주의 군벌 리비아국민군(LNA)의 기세가 만만치 않다. LNA가 리비아 국토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데다 ‘돈줄’ 유전지대를 장악해 양측은 수년간 내전을 벌이고 있다.

현재 터키는 GNA를, 이집트는 LNA를 지원하고 있다. GNA와 ‘이슬람 원리주의’라는 공통분모를 지닌 에르도안 정권은 소형 구축함, 전투기, 군인 등을 대거 파견하며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반면 이집트는 국경을 맞댄 리비아 동부에 터키군이 주둔하게 되면 국가안보가 위협을 받는다고 보고 있다. 특히 터키가 시시 대통령의 정적인 이슬람 원리주의 단체 ‘무슬림형제단’을 직간접으로 지원하는 것을 눈엣가시로 여긴다.

중동 전문가들은 터키와 이집트가 사실상의 대리전쟁을 벌일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지난해 11월 GNA와 군사안보협정을 체결한 터키는 현지에서 천연가스 탐사 및 시추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지중해와 아프리카를 잇는 곳에 위치한 리비아의 지정학적 특성도 터키엔 매력적이다.

이집트는 터키의 리비아 영향력 확장을 막기 위해 자국 국경에서 약 800km 떨어진 거점 도시 시르테를 반드시 사수하겠다는 각오가 대단하다. LNA가 시르테를 기반으로 원유를 수출하고 있는 만큼 이 지역을 핵심 전략 요충지로 보고 있는 셈이다.

이달 20일 이집트 의회는 리비아에 군대를 파병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승인 직후 훌루시 아카르 터키 국방장관은 “리비아의 평화와 안정을 깨뜨리는 동부 반군에 대한 지원을 즉각 그만두라”며 반격에 나섰다. 두 나라의 대립이 일촉즉발 직전이란 분석이 제기됐다.

○ 사우디·UAE에서도 반터키 감정 고조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아야 소피아의 내부 모습을 담은 사진을 배경으로 이 건물의 모스크 전환 방침을 발표하고 있다. 앙카라=AP 뉴시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아야 소피아의 내부 모습을 담은 사진을 배경으로 이 건물의 모스크 전환 방침을 발표하고 있다. 앙카라=AP 뉴시스
오스만튀르크는 1517년부터 1914년까지 약 400년간 이집트를 지배했다. 자국을 인류 문명의 발상지로 여기는 이집트인에게 일종의 치욕이다. 역시 오스만튀르크의 지배를 받았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같은 나라도 비슷한 감정을 공유하고 있다. 아랍과 터키가 인종, 언어, 문화, 역사 면에서 상당히 다르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아랍 각국은 에르도안 대통령이 공공연히 “터키가 이슬람권 중심국이 되어야 한다”고 발언하는 것에 극도의 불쾌감을 드러내고 있다. 한 중동 소식통은 “아랍권은 터키가 리비아뿐 아니라 시리아, 이라크, 키프로스에서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불안해한다. 피지배 역사를 가진 쪽에서는 과거사 때문에 두려워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사우디와 UAE 같은 걸프만 국가들은 터키가 2017년 6월 ‘카타르 단교 사태’(사우디, UAE, 바레인, 이집트 등 수니파 이슬람국이 카타르의 친(親)이란 성향을 문제 삼아 단교)를 계기로 카타르에 군대를 주둔시킨 것도 심각한 안보 위협으로 받아들인다. 오스만튀르크 제국이 무너지고 1922년 터키 공화국이 건립된 후 아라비아반도에 터키군이 주둔한 것도 처음이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지난해 11월에도 카타르 도하를 찾아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국왕과 정상 회담을 가졌다.

터키는 이집트, 사우디 등과 수니파라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수니파 이슬람국과 대립하는 시아파 맹주 이란, 이스라엘, 카타르 등과도 상당 부분 협력하며 양측에서 교묘하게 줄을 타고 있다. 특히 2018년 10월 사우디 반정부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가 터키 이스탄불의 사우디 총영사관에서 살해된 뒤 사우디와 터키가 사실상 갈라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우디 왕실은 터키가 확보한 기밀 정보를 서구 언론에 흘리면서 국제사회의 반사우디 여론이 고조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여파로 최근 사우디에서는 오스만튀르크 역사 지우기가 한창이다. 중동전문매체 미들이스트모니터에 따르면 올해 6월 수도 리야드시 당국은 오스만튀르크의 술탄 술레이만 1세의 이름을 따서 만든 거리 이름을 아랍식으로 바꾸기로 했다.

사우디 교육부는 조만간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오스만튀르크 시절 점령군이 저질렀던 범죄 등 터키와 관련된 부정적인 내용을 대거 포함시키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오스만튀르크 점령’이란 단어도 과거보다 훨씬 많이 사용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우디 정부는 최근 자국민들에게 “가급적 터키 여행을 가지 말라”고도 촉구하고 있다.

이집트 외교 소식통은 “터키가 군사, 종교 양면으로 영향력을 키우면서 가뜩이나 높은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이 더 높아지고 있다. 당분간 아랍권의 반터키 감정이 잦아들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이세형 카이로 특파원 turtle@donga.com
#반터키#에르도안 터키 대통령#리비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