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방문한 중국 지린(吉林)성 옌볜(延邊)조선족자치주의 룽징(龍井)은 남의 땅 같은 느낌이 들지 않았다. 룽징 주민 대다수가 조선족인 데다 거리 간판마저 한글로 표기돼 있었다. 그 한글이 이제 중국에서 사라질지도 모른다. 중국 당국이 ‘민족 통합 교육’을 내세우면서 중국 표준어(만다린어)를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의 국어로 사용하는 정책을 표명했기 때문이다. 시진핑 주석이 지난해 9월 ‘전국 민족단결진보 표창대회’에서 “민족 교육과 국가 통용 언어문자 교육을 전면 강화해야 한다”고 연설한 것과 맥을 같이한다.
▷중국 내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 국어화 정책은 2010년대부터 본격화됐다. 중국당국은 2017년 신장위구르자치구, 2018년 티베트자치구에서 위구르어와 티베트어 교육을 축소시키고 중국어 강화정책을 강행했다. 2018년 5월에는 티베트족 사업가가 쇠멸돼가는 티베트어 보존 캠페인을 벌이다가 ‘분열선동죄’라는 죄목으로 5년 실형 선고까지 받았다. 영국 BBC방송은 지난해 7월 “중국당국이 위구르에서 조직적으로 소수민족 어린이들을 부모와 격리한 뒤, 고유의 신앙과 언어를 말살시키는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어린이들이 위구르어 사용을 금지당한 채 중국어와 중국 문화를 배우고 있다는 것.
▷신장위구르나 티베트 자치구와 달리 북방의 조선족자치구와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는 별다른 분리주의 움직임이 없는 지역이다. 그런데도 중국당국은 올해부터 이 지역에서도 중국어 강화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몽골족 학부모와 학생 수천 명이 “우리의 모국어는 몽골어”라며 시위를 벌이고 등교 거부 운동까지 했다.
▷랴오닝(遼寧)성, 지린성 등에 산재한 조선족 초·중학교 일부도 올 9월 신학기부터 한글이 빠진 중국어 국정교과서 ‘어문(語文)’을 국어 교재로 사용할 예정이다. 조선족 사회에서는 몽골의 경우처럼 역사, 도덕 등 다른 과목에까지 중국어를 확대시킴으로써 전통 문화와 한글이 위축될 것이라고 걱정한다. 게다가 중국 대입제도(高考)에서 소수민족에게 가산점을 주는 특혜마저 폐지되면 한국어가 점차 소멸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중국 공산당의 소수민족 언어 정책은 미국과 극명하게 대조된다. 지난해 9월 캘리포니아주 의회는 매년 10월 9일을 ‘한글날(Hangul Day)’로 지정해 기념일로 선포했다. 한국어는 미국 대입시험 외국어 과목에도 포함돼 있다. 한글 말살 정책이 극에 달했던 일제강점기에 만주 지역으로 건너간 한국인들이 후세들에게 한글을 교육하며 한국어를 굳건히 지켰듯이 이번에도 한글을 잘 지켜가기를 응원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