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별의 노래[이준식의 한시 한 수]〈86〉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12월 4일 03시 00분


말에서 내려 그대에게 술을 권하며 어디로 가려냐고 물었더니

뜻을 못 이루어 남산 기슭으로 돌아간다는 그대의 대답.

더 이상 묻지 않으리니 그냥 떠나시오. 그곳엔 흰 구름이 끊이지 않을 테니.

(下馬飮君酒, 問君何所之. 君言不得意, 歸臥南山수. 但去莫復問, 白雲無盡時.) ―‘송별(送別)’ 왕유(王維·701∼761)

웅지를 펼치지 못해 낙향하는 지인을 배웅하는 자리. 어느 한쪽이 그간의 사연과 곡절을 넋두리처럼 늘어놓으며 석별의 정을 달랠 법도 한데 둘의 대화는 더없이 간결하고 담박(淡泊)하다. 이심전심으로 서로 통하는 게 있어서인가. 끝없이 흐르는 구름처럼 자유와 여유를 누린다는 건 인생 축복의 또 다른 한 측면, 그러니 ‘뜻을 못 이룬’ 이의 낙향을 어쭙잖게 위로하거나 격려한다는 건 자칫 사족(蛇足)으로 치부될 수도 있겠다. 하여 시인은 세상의 질서에 적응하지 못해 좌절한 인생을 향해 실망하거나 불평할 건 없다는 충고 대신 흰 구름의 비유로 위로를 전한다. 끊이지 않는 흰 구름, 그것은 또 일장춘몽처럼 짧디짧은 세속의 부귀공명과 대비되는 무한한 생명력의 표상이기도 할 터다.

시에 등장하는 지인은 누구일까. 당시 시명을 떨치던 맹호연(孟浩然)으로 추정할 수 있는 흥미로운 사례가 전해진다. 우연한 기회에 현종(玄宗)의 명령으로 즉흥시를 한 수 짓게 된 맹호연, 하필이면 그때 황제의 심기를 건드리는 결정적인 실수를 하고 만다. “재주 없어 명군(明君)께서 날 버리셨고 병 잦으니 친구조차 소원해졌다”는 시구가 담긴 ‘세모에 남산으로 돌아가다’라는 시를 올렸던 것이다. 시를 듣자 황제는 화를 내며 “그대가 벼슬을 구한 적도 없거니와 내가 언제 그대를 버린 적이 있던가”라면서 그에게 낙향을 명했고, 그 후 그는 평생토록 남산 기슭에 머물러야 했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작별#노래#낙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