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의 전기차 세단 ‘모델3’(사진)가 화재 등으로 전력이 끊기면 뒷좌석에서는 스스로 문을 열고 나올 수 없도록 설계됐다는 게 팩트냐는 질문에 돌아온 테슬라의 공식 답변이었다. ‘내부 전력이 끊기면 기계적으로 문을 여는 장치는 앞문에만 있다’라고 적힌 사용자 안내서를 믿을 수 없어 테슬라코리아 측에 수차례 전화를 한 끝에 들은 한마디였다.
9일 서울 용산구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1억 원이 넘는 테슬라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X’가 화재 사고 뒤 외부에서 문을 열 수 없었던 점에 대해 물었을 때도 테슬라의 반응은 마찬가지였다. 차량 제조사가 원인 조사도 안 끝난 사고에 대해 답할 의무는 없다. 하지만 탑승자 구조 과정에서 소방당국이 발견한 문제에 대해서도 테슬라는 책임 있는 답변을 피했다.
먼 미래로만 보였던 전기차를 상용차로 만들어내 ‘혁신기업’으로 각광받는 테슬라다. 기자도 올해 테슬라 시승차량을 타 보면서 ‘기존의 완성차 업체들이 배울 게 많다’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하지만 안전이라는 결코 타협할 수 없는 문제에 대처하는 테슬라의 태도는 혁신기업도, 일류기업도 아니었다.
자동차는 사람을 태우고 빠른 속도로 이동한다는 점 때문에 늘 위험에 노출돼 있다. 고객은 기업을 믿고 큰 비용을 들여 제품을 구매한다. 위기 시 탑승자가 대처하기 힘들게 돼 있다는 점도 기가 막히고 무대응도 이해하기 어렵다.
보도를 접한 국내 모델3 고객들은 온라인 카페에서 격한 반응을 쏟아내고 있다. “유사시에 뒷문을 열 수 없다는 사실조차 몰랐다”거나 “뒷좌석에는 애들이 타는데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는 글이 쇄도하고 있다. 어떤 고객은 “유리를 깰 망치를 뒷좌석에 상비해야겠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인터넷을 뒤져 보니 ‘모델3의 뒷좌석 문제’는 이미 미국에서 2018년부터 불거져 나왔다. 한 해외 유튜버는 지난해 모델3 뒷좌석에 스스로 ‘비상 탈출고리’를 만드는 동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뒷문 내장재를 완전히 뜯어내 문을 열 수 있는 철제 케이블을 찾아낸 뒤 드릴로 내장재 일부에 구멍을 내 고리를 연결하는 식이다. 이 유튜버는 이 동영상에 ‘내가 당신의 목숨을 구할 수 있다(I Can Save Your Life)’는 제목을 붙였다.
이렇게 이미 문제가 제기되고 ‘해법’까지 나온 상황을 테슬라는 몰랐던 걸까. 불안한 모델3 고객은 카센터에서 뒷문에 구멍을 내고라도 탈출고리를 만들어야 할 판이다.
모델3는 올 들어 11월까지 한국에서 1만 대가 넘게 팔렸다. 모델S, 모델X 판매까지 감안하면 테슬라의 국내 매출은 6700억 원이 훌쩍 넘는다. 테슬라가 소비자 안전 문제에 책임 있는 답변과 대책을 서둘러 내놔야 하는 이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