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편의 시가 감정의 격류를 몰고 올 때가 있다.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서 어맨다 고먼이라는 젊은 시인이 5분 남짓 낭독한 자작시 ‘우리가 오르는 언덕’이 그랬다.
“우리는 끝이 없는 그늘 속에서 빛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지 자문합니다.” 이렇게 시작되는 시에서 그늘은 미국 사회가 정치적, 사회적으로 거쳐야 했던 폭력과 불신, 냉소와 증오에 대한 은유적 표현이다. 치욕스러운 의사당 폭력만이 아니라 인종차별, 성차별, 코로나로 인한 죽음들이 다 그늘이다. 그래도 시인은 절망하지 않는다. “우리는 슬퍼할 때조차 성장했고, 상처를 입었을 때조차 희망을 품었습니다.”
역사를 돌아보면 그랬다. 인간은 늘 슬픔과 상처를 딛고 살아왔다. 역사와 현실을 바라보는 시인의 눈이 무척 낙천적이다. 시인이 흑인 노예의 후손이며 싱글맘 밑에서 성장했고 언어장애가 있었다는 스토리가 더해지면서 시는 엄청난 호소력을 발휘한다. 고먼이 시를 쓰게 된 것은 언어장애 때문이었다. 그녀는 외국인이 아니었음에도 발음이 서툴렀다. 특히 ‘R’ 발음에 애를 먹었다. 그래서 책에 매달렸고 2017년에는 최초의 전미 청년 계관시인이 되었고,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식에서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어 놓는 시를 낭독했다. 장애를 극복하고 언덕을 오른 사람이라서 가능한 일이었다. 대통령 자신도 어렸을 때부터 언어장애가 있던 사람이었다.
이것이 어찌 개인만의 일이랴. 개인에게 언덕이 있듯이 국가와 공동체에도 올라야 하는 언덕이 있다. 시인이 그늘을 떨쳐내자고 하는 이유다. “빛을 볼 용기만 있다면, 그리고 그 빛이 될 용기만 있다면, 우리에게 빛은 늘 있을 것입니다.” 어떻게든 빛을 찾으려 하고 때로는 스스로 그 빛이 되려는 용기만 있으면 그늘을 벗어날 수 있다는 말이다. 이것이 어찌 미국만의 일이랴. 용기는 서로에 대한 불신과 냉소의 그늘에 갇혀 있는 우리에게도 필요한 것일지 모른다. 스스로가 빛이 ‘되는’ 용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