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의 마크 카니 총재는 2016년 6월 기자회견장에 물을 채운 유리컵을 가져다 놓았다. 그는 카리스마 넘치는 표정으로 5파운드 지폐를 꺼내들었다. 그러고는 물감이 든 컵에 담갔다가 뺐다. 돈을 세탁기에 넣고 돌리는 영상도 소개했다. 그래도 지폐는 멀쩡했다. 이렇게 내구성 좋은 지폐를 만드는 것은 각국 발권 당국의 목표 중 하나다. 한국도 해외 40개국에 수출할 정도로 돈을 잘 만든다. 하지만 오래가게 만들면 뭐하나. 돈은 시중에 돌지 않으면 제 역할을 못 한다.
▷지난해 한국 지폐 환수율이 관련 통계를 만들기 시작한 1992년 이래 최저인 40%로 떨어졌다. 지폐 10장을 찍어내면 4장만 환수되고, 나머지 6장은 장롱이든 금고든 어딘가 꽁꽁 숨어버리는 것이다. 직전인 2019년 환수율이 71.3%였으니 거의 반 토막이 됐다. 지폐 중에는 5만 원권의 환수율이 24.2%로 가장 낮았다. 지난해 추석 무렵엔 5만 원권 품귀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시중에 돌아야 할 돈이 사라지면 비용을 들여 또 화폐를 찍어야 한다.
▷한국은행은 환수율 하락 이유로 코로나 사태와 저금리를 지목했다. 코로나 사태로 현금 거래가 많은 대면 소비가 크게 줄었다. 지폐가 환수되는 주요 경로가 ‘대면 서비스업→시중은행→한국은행’인데 이 고리가 시작점부터 위축된 것이다.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예비용 현금을 쌓아두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저금리 탓에 은행에 맡겨봐야 이자가 거의 없는 것도 현금 보유를 증가시킨 요인으로 꼽힌다.
▷코로나 사태와 저금리는 전 세계적 현상이다. 그런데도 유독 한국만 지폐 환수율이 크게 떨어졌다. 최고액 지폐 환수율을 보면 미국이 70%대 후반이고, 유럽은 90%를 웃돈다. 이 때문에 탈세 등 불법거래와 연관이 있을 것이란 추측이 많다. 실제 상속세를 피하려고 지폐를 모으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한다. 최고 세율 50%인 상속세를 피해 현금을 자녀에게 물려주려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가정용 금고 판매가 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전자 결제가 일상으로 자리 잡으면서 현금을 쓰는 일이 줄고 있다. 게다가 디지털 화폐도 선보이고 있다. 디지털 화폐는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와 달리 중앙은행이 발행하는데 중국은 이미 디지털 위안을 실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전담조직을 꾸리고 선행 연구에 나섰다. 디지털 화폐는 코로나 등 전염병의 매개체가 되지 않는다. 디지털 기술로 탈세나 돈세탁을 억제할 수도 있다고 한다. 첨단 기술 덕분에 ‘잠자는 신사임당’ 문제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시대가 올 수도 있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