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찬 이별[이준식의 한시 한 수]〈96〉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2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울울창창 언덕의 풀, 해마다 한 번씩 시들었다 무성해지지.

들불인들 다 태울소냐, 봄바람 불면 다시 돋아나는 걸.

향초는 저멀리 옛길까지 뻗어있고 해맑은 푸르름은 옛 성에 닿아있네.

다시금 그대를 떠나보내려니 봄풀처럼 그득한 석별의 정.

離離原上草, 一歲一枯榮. 이리원상초, 일세일고영.

野火燒不盡, 春風吹又生. 야화소부진, 춘풍취우생.

遠芳侵古道, 晴翠接荒城. 원방침고도, 청취접황성.

又送王孫去, 萋萋滿別情. 우송왕손거, 처처만별정.

- ‘옛 언덕의 풀을 읊으며 송별하다(賦得古原草送別)’ 백거이(白居易·772~846)

들풀 우거진 언덕에서 친구를 배웅하는 시인. 석별의 아쉬움이 풀처럼 다복다복 가슴에 그득하다. 저 멀리 옛길과 황폐한 도시에까지 닿은 그 향긋하고 싱그러운 푸르름으로 하여 더한층 마음이 아린 이별의 시각이다. 하나 해마다 시들었다 무성해지기를 반복하는 저 들풀처럼 우리의 인연도 무한히 이어지리라. 들불에 깡그리 타버려 겨우내 삭막했던 언덕에도 봄바람에 새록새록 풀이 돋고 마침내 저리도 울울창창한 풍요를 일구어내지 않는가. 시인이 마주한 이별은 그러므로 절망적인 슬픔이 아니라 ‘찬란한 슬픔의 봄’을 기다리는 듯 벅찬 희망으로 승화된다. 자연의 섭리를 통해 보여주는 긍정의 메시지가 이별의 아픔보다 더 큰 울림으로 다가오는 이유다.

젊은 백거이는 이 시로 명성을 떨칠 계기를 마련했다. 과거 응시를 위해 열여섯 나이에 장안에 온 그는 습작한 시문을 들고 대시인 고황(顧況)을 찾았다. 과거를 앞두고 자기 재능을 알리기 위해 고관대작이나 명사를 찾는 건 당시의 관행이기도 했다. 고황이 그의 이름을 듣고는 장안의 쌀값이 비싸 살기(居)가 쉽지(易) 않을 거라 농담했다. 하지만 ‘들불인들 다 태울소냐, 봄바람 불면 다시 돋아나는 걸’이라는 시구를 보더니 이 정도의 시재라면 어디서든 편히 살 거라고 극찬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희망#이별#언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