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아테네의 아고라는 그리스 여행의 필수 코스이다. 하지만 뙤약볕에 줄을 서서 입장권을 얻고 아고라에 들어서는 순간 기대는 실망으로 바뀐다. 축구장 2개 크기의 공터에 온통 깨진 돌덩어리들뿐이다. 그 폐허 속에서 옛 아고라의 흔적을 떠올리려면 역사적 상상이 필요하다. 기원전 5세기의 아고라는 번성한 도시국가의 심장이었다. 당시 아테네는 1000개에 이르는 그리스 도시국가들 가운데 가장 부강한 나라였고, 그 중심에 아고라가 있었다. 아테네의 문화와 정치를 대표하는 것들, 이를테면 신전과 제단, 회의장, 재판정, 군사령부, 조폐소 등이 아고라와 그 주변에 밀집해 있었다. 아고라는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시장이 아니라 의견을 주고받는 민주정의 공론장이자 그리스 문명의 상징적 공간이었다.》
소크라테스는 이 장소의 터줏대감이었다. 튀어나온 이마, 콧대가 움푹 파인 안장코, 넓적한 얼굴 등 남다른 외모가 눈길을 끌었다. 게다가 그는 항상 맨발이었다. 하지만 대화의 기술에서는 그를 따를 자가 없었다. 석공 일, 구두 수선, 말 조련 등 일상의 사례들을 끌어들이는 데서 시작한 대화는 어느 순간 경건 우정 용기 절제 정의 등 덕(德)에 대한 대화로 바뀌어 있었다. 칼, 가위, 술병, 장신구 등 가재도구 이름을 대며 어디서 그것을 구할 수 있느냐고 묻다가, 갑자기 ‘용감하고 덕이 있는 사람은 어디서 구하지?’라고 묻는 식이었다.
소크라테스가 일깨운 지혜
그의 말은 긴 연설도, 장황한 강의도 아니었다. 물론 돈도 받지 않았다. 조롱과 폭행을 피하면 다행이었다. 사람들의 생각을 끌어내어 ‘묻고 따지고 시험하는’ 그의 대화 방법은 무척 도발적이었다. 반박을 당해 원한을 품는 사람들이 늘어났지만, 그의 대화를 지켜보며 즐기는 젊은이들도 생겼다. 겉보기에 장난 같은 대화였지만, 소크라테스는 그것이 ‘정치술’이라고 말하면서 스스로 최고의 ‘정치가’를 자처했다. 아테네의 정치를 이끈 위대한 정치가들은 “나라를 붓고 속으로 곪게 하는 것”밖에 한 일이 없는 위인들이라는 게 그의 지론이었다. 무엇이 소크라테스로 하여금 그런 ‘이상한 정치’에 나서게 했을까?
소크라테스가 태어날 무렵(기원전 469년) 아테네는 해상제국으로 힘차게 도약하고 있었다. 그가 태어나기 10년 전 그리스의 작은 도시국가들은 대제국 페르시아의 침공에 맞서 운명의 결전을 벌였다. 그리고 승리했다. ‘코끼리와 모기 떼의 싸움’ 같은 이 전쟁을 승리로 이끈 주역은 아테네였다. 해군이 강력했던 아테네는 페르시아의 재침공에 대비한다는 구실 아래 에게해 인근 도시국가들을 끌어들여 동맹을 맺고 맹주로 나섰다. 자신들의 정체와 문화에 대한 아테네인들의 자부심이 하늘을 찌를 듯했다. 아테네는 ‘다른 나라의 본보기’이자 ‘도시 전체가 그리스의 학교’였다. 하지만 꼭 거기까지였다. 민주정체와 패권에 대한 아테네인들의 확신이 타국에 대한 개입과 지배로 이어지면서 다른 나라들의 원성을 사기 시작했다. 민주국가가 점점 제국으로, 폭군의 나라로 변화해 갔던 것이다.
잘못된 확신의 위험함 폭로
급기야 피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나고 말았다. 외세를 물리치고 50년 뒤 아테네는 동족과의 전쟁에 휩쓸렸다. 이 전쟁을 기록한 당대의 역사가 투키디데스는 “아테네의 세력 팽창이 경쟁국 스파르타인들에게 공포감을 불러일으켜 전쟁을 불가피하게 만들었다”고 썼다. 두 나라를 중심으로 전체 그리스가 ‘함정’에 빠진 것이다. 투키디데스는 특히 이 전쟁이 초래한 가치 전도에 주목했다. 용기가 만용으로, 신중함이 기회주의적 비겁으로, 절제가 속임수로, 사리분별이 태만으로 여겨지는 시대가 왔다.
확신의 정도는 자기 성찰의 빈도와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확신이 완고해질수록 성찰의 범위를 점점 더 벗어난다. 제3제국의 건설을 외친 나치의 확신이 독일을 어떻게 파괴했는지, 위대한 미국을 내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확신이 미합중국을 어떻게 분열시켰는지 소크라테스가 알 리 없었다. 하지만 알았다고 해도 별로 새롭지 않았을 것이다. 그는 이미 ‘위대한 나라’ 아테네 제국의 확신과 횡포에 대해 잘 알았기 때문이다. 제국주의적 팽창과 내란의 과정에서 인간들은 타인을 파괴하면서 스스로 파괴되어 갔다. 불필요한 것들에 대한 욕망이 과도하게 부풀어 오르다가 터져 버려 삶의 기본 틀이 무너져 내렸다. 그런 시대에 부와 권력과 명성에 대한 욕망에 취해 혼미한 나라를 흔들어 깨우는 것이 소크라테스의 ‘정치’였고, 잘못된 확신의 거짓됨을 폭로하는 것이 그의 ‘정치술’이었다.
캐묻지 않는 삶은 가치 없어
소크라테스는 무지가 악(惡)의 원인이라고 믿었다. 묻고 따지고 시험하는 대화는 그런 무지에 대한 처방이었다. 그는 그런 시험을 통해 인간이 확실한 앎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었을까? 그렇지는 않다. 소크라테스는 어느 누구도 확실한 앎, 흔들림 없는 확신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지 않았다. 그가 사람들에게 요구한 것은 확실한 앎의 획득이 아니라 앎의 불완전함에 대한 자각이었다. 불완전한 앎에 기댄 확신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을 그는 일깨웠다. 소크라테스는 그것이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길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캐묻지 않는 삶은 살 만한 가치가 없다.”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은 아테네 시민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위한 경고이자 요구이다. 번성했던 삶의 빛과 어둠을 속속들이 체험한 한 인간의 실존적 고백이기도 하다. ‘대중의 지배(demokratia)’로서의 민주정에는 항상 ‘대중선동가(demagogos)’의 위험이 따른다. 옳고 그른 것을 따지고 가려내는 능력이 아테네의 민주정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시민적 덕목이었던 것은 그 때문이다. 직접 민주정이 간접 민주정으로 바뀐 지금도 크게 다를 바 없다. 그런 뜻에서 소크라테스의 비판이 “민주적인 삶을 위해서 필요한 비판”이라는 칼 포퍼의 말에 일리가 있다.
확신에 따른 편향-맹목 경계를
그러나 비판과 검토가 정치에서만 필요할까? 인간은 끊임없이 새로운 상황에 직면하고 무언가를 선택해야 한다. 확신이 있다면 선택도 쉽다. 확신이 강할수록 자신의 선택에 대해 질문할 필요도 없고 다른 선택의 가능성을 따져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편하니까 좋다. 하지만 편하고 쉬운 확신과 선택에는 언제나 편향과 맹목의 위험이 따른다. 이런 위험에 대처하는 길은 묻고 따지고 시험하는 것밖에 없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는 우리가 어떻게 우리의 삶을, 타인을, 더 나아가 나 자신을 검토해야 하는지 보여준 본보기였다.
폐허의 아고라에서는 부서지고 깨어져 오랜 시간 속에서 마모된 돌덩이들이 진짜다. 인간의 앎과 확신도 흔들리고 깨어지면서 세월의 시련을 견뎌낸 것만이 안전하다. 흔들림 없는 확신이 가장 위험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