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토옙스키, 그 위대한 갱생의 서사[석영중 길 위에서 만난 문학]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3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보리스 니콜라예프의 1969년 작 리놀륨 판화. 옴스크 도스토옙스키 기념관 제공
보리스 니콜라예프의 1969년 작 리놀륨 판화. 옴스크 도스토옙스키 기념관 제공
석영중 고려대 노어노문학과 교수
석영중 고려대 노어노문학과 교수
《1849년 12월 22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세묘놉스키 연병장. 살을 에는 듯한 삭풍을 맞으며 스물두 명의 사형수들이 사격부대의 총구 앞에 세워져 있었다. 대장의 발사 명령만 떨어지면 모두 형장의 이슬로 사라질 터였다. 그 일촉즉발의 순간에 돌연 황실 시종무관이 숨을 헐떡이며 달려와 떨리는 손으로 대장에게 황제의 친서를 건네는 영화 같은 일이 벌어졌다. 형 집행을 즉각 정지하라는 특별서한이었다! 사형수 자신들은 물론 그들의 가족과 구경꾼들이 내뱉는 충격과 경악, 안도의 비명으로 광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되었다. 그날 그 순간 울려 퍼지지 않은 총성은 모든 것을 바꿔 놓았다. 한 남자의 인생도, 그의 문학도, 그리고 그의 조국 러시아의 문학적 위상도.》

옴스크 도스토옙스키 기념관 내부 전경. 석영중 교수 제공
옴스크 도스토옙스키 기념관 내부 전경. 석영중 교수 제공
남자의 이름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1821∼1881), 러시아 문학에 ‘심오함’의 인장을 새겨놓은 바로 그 사람이다. 그는 반정부 음모 가담죄로 사형선고를 받고 그 운명의 시간에 죽음을 기다리며 대열의 두 번째 줄에 서 있었다. 그와 동료 정치범들은 꿈에도 모르고 있었지만 이 전대미문의 처형식은 황제가 반체제 젊은이들에게 ‘호된 맛’을 보여주기 위해 직접 기획한 반인륜적 연극이었다. 도스토옙스키는 이틀 후 썰매에 실려 옴스크 유형지로 이송되었다.

지옥에서 다시 태어난 대문호


오늘의 옴스크는 러시아에서 일곱 번째로 큰 도시이지만 1716년 창건될 당시만 해도 이르티시 강변에 세워진 작은 요새에 불과했다. 요새 감옥으로 죄수들이 들어오면서 도시는 제정 러시아의 주요 유형지로 부상했다. 도스토옙스키는 1850년 1월 23일 옴스크에 도착하여 이후 4년여 동안 약 5킬로그램 상당의 족쇄를 발목에 차고 러시아 전역에서 붙잡혀 온 일반 형사범들과 같은 막사에서 복역했다. 옴스크는 그에게 인간이 떨어질 수 있는 가장 깊은 나락이자 가장 높이 솟아오르기 위한 발판이었다. “이빨과 위장을 가진 고깃덩어리들”이 우글거리는 이 참혹한 지옥의 분화구에서 그는 문자 그대로 다시 태어나 대문호의 자리로 솟아올랐고 이후 그의 펜 끝에서는 위대한 갱생의 서사가 줄기차게 쏟아져 나왔다.

형기를 마치고 수도로 귀환해서 쓴 자전적 소설 ‘죽음의 집의 기록’에서 도스토옙스키는 갱생의 방식과 응시의 방식을 같은 맥락에서 다룬다. 주인공 고랸치코프에게 감옥은 무엇보다도 먼저 눈을 가두는 곳이다. “담장에 난 틈새를 통해 하늘의 가장자리만을 볼 수 있다.” 수없이 많은 인고의 시간이 지나간 후, 틈새 앞에 고정된 시선이 담장을 넘어 무한한 “푸른 창공”으로 뻗어나갈 때 비로소 그는 물리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해방된다. 주인공의 갱생은 그의 제한된 시야가 확장되는 과정에 다름 아니란 얘기다.

인간을 향한 ‘깊이 보는 시선’


옴스크 도스토옙스키 기념관에 전시된 족쇄. 도스토옙스키는 약 5kg의 족쇄를 유배 기간에 계속 차고 있어야 했다. 석영중 교수 제공
옴스크 도스토옙스키 기념관에 전시된 족쇄. 도스토옙스키는 약 5kg의 족쇄를 유배 기간에 계속 차고 있어야 했다. 석영중 교수 제공
지식인 고랸치코프가 유배지에서 맞닥뜨린 가장 큰 문제는 노역과 굶주림과 잔인한 체벌과 오물통 같은 막사보다도 같은 막사에서 부대끼며 살아야 하는 수백 명의 흉물스러운 평민 죄수들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였다. 고랸치코프처럼 지식인 계층에 속하는 일부 유형수들은 보는 것이 너무 끔찍해 눈을 내리깔고 지냈다. 그런 사람들은 대부분 얼마 못 버티고 고립 속에서 무너졌다. 그들은 본다는 것이 가장 근원적인 소통 행위임을, 삶 속에서 일어나는 일에 눈을 감거나 눈을 돌릴 때 실존 자체가 감옥이 될 수밖에 없음을 간과했던 것이다.

고랸치코프에게 시선의 해방은 ‘깊이 보는 법(seeing-in-depth)’의 습득에서 시작된다. “표면에 씌워진 껍질을 벗겨버리고 아무런 편견 없이 주의 깊게 알맹이만을 가까이서 바라보면 된다. 그러면 민중들에게서 생각지도 못했던 것들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짐승들 사이에 섞여 있는 깊고 강하고 아름다운 인간”을 보았고 무한한 선과 무한한 악을 동시에 품을 수 있는 인간 정신의 그 광대무변함에 놀라다 못해 경외감까지 느꼈다.

“사람의 알맹이는 모두 같더라”


극과 극이 공존하는 인간 본성의 전 스펙트럼을 눈 속 깊이 들여오는 동안 주인공의 시선은 바깥이 아닌 자신의 내부로 돌려졌다. “나는 내 지난 생애 전체를 되돌아보았고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다시 끄집어내어 과거를 깊이 복기하고 용서 없이 엄격하게 스스로를 평가해 보았다.” 날카로운 통찰의 눈이 그의 내면을 사정없이 파고들어 그 가장 깊은 곳에 숨겨진 암흑의 심연에 도달했을 때 그는 자신의 ‘알맹이’도 무식한 흉악범의 알맹이와 별반 다를 바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사람은 어디에서나 똑같은 사람이다.”

주인공의 깊이 들여다보기는 넓게 보기로 연장된다. 혐오로 핏발 선 그의 눈에 어느 순간부터 부드러운 눈물이 고이기 시작했다. “누가 이 파멸해 가는 사람들 마음속 깊은 곳을 헤아려 그들에게 숨겨져 있는 모든 세상의 비밀을 읽었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동시에 그는 “그 어떤 낙인도 족쇄도 인간으로 하여금 자신이 인간이라는 사실을 잊게 만들 수 없다”는 것도 깨달았다. 공동의 불행 속에서 기묘한 유대감이 생겨났다. 이 지점에서 주인공의 갱생은 슬그머니 상생의 비전에 중첩된다. 이때 이후 인간의 눈으로 “인간 속의 인간”을 발견한다는 명제는 도스토옙스키의 도덕 철학으로 굳어졌다.

‘인간 속의 인간’을 발견하다


도스토옙스키가 창조한 인물의 깊이 보는 시선에 동참할 때 일어나는 것은 우리 내면의 변화다. 깊이 보기와 깊이 읽기(deep reading)는 어느 틈에 결국 같은 것이 된다. 깊이 읽다보면 시베리아 오지의 황폐한 유배지는 우리 마음 저 깊은 곳에 도사리고 있는 어둡고 누추한 지하실이 된다. 어둠을 마주할 용기가 있을 때 그 지하실은 갱생을 위한 공간으로 전변하고 희망이 섬광처럼 우리를 비춰준다. 소설의 독서가 주는 가장 큰 보상이다.

올해는 도스토옙스키가 태어난 지 200주년 되는 해이다. 도스토옙스키는 생애의 많은 시간을 페테르부르크에서 살았다. 그래서 흔히들 그를 페테르부르크의 작가라 부른다. 그러나 그는 옴스크에서 다시 태어난 옴스크의 작가이기도 하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우리는 전 인류를 강타한 사상 초유의 팬데믹에 맞서 살아가고 있다.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지만 앞으로도 한동안 자유로운 여행은 어려워 보인다. 우리 안에 있는 옴스크를 찾아서 내면 여행을 할 수 있다면 이 시간도 헛되지 않을 것 같다.

석영중 고려대 노어노문학과 교수
#도스토옙스키#갱생#서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