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시계와 포스터의 사회학[2030세상]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5월 11일 03시 00분



박찬용 칼럼니스트
박찬용 칼럼니스트
지인 집에 집들이를 가니 거실에 벽시계 5개가 걸려 있었다. 세계 시간을 표시한 호텔 프런트 인테리어인가 싶었다. 아니었다. 시침이 가리키는 시간이 다 같았다. 이렇게 해둔 이유를 물었다. “예뻐서요.”

‘벽시계남’은 안목이 높고 집요하며 예산 면에서는 현실적이다. 설명이 이어졌다. “옛날 벽시계는 20세기 산업디자인의 명인이 디자인했습니다. 그런 것 치고는 제가 큰 부담 없이 살 수 있는 가격대였어요.” 하긴 그는 비흡연자이고 술도 거의 안 마신다. 그는 겸연쩍은 듯 덧붙였다. “사다 보니 거실에만 5개고 다른 방에도 한두 개씩 걸려 있어요. 대신 요즘은 이런 물건이 인기라 해외직구하고 되팔아도 제값은 받아요.” 중고품 판매 사이트를 검색하니 그의 말 그대로였다. 바우하우스로 대변되는 당시 간결한 디자인의 오리지널 벽시계가 많았다.

바우하우스, 브라운, 디터 람스 등 디자인 키워드는 젊은 사람들에게 몇 년 전부터 인기였다. 서울 서초구 양재동의 4560 디자인하우스는 그런 인기의 살아있는 예다. 어느 개인 수집가가 디터 람스 디자인을 좋아했다. 자기 수집품을 모아 작은 전시장을 만들었다. 2년간 2만여 명이 다녀가 220평 규모로 확장했다. 나는 이곳의 인기가 하나의 상징이라 생각한다.

4년 전 원로 정치학자 라종일과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그때 그는 “태평양전쟁 이후 문화사적으로 일어난 큰 변화는 역사 이래 최초로 수많은 동북아인이 해외여행을 한 것”이라고 했다. 1960년대부터 일본인-한국인-중국인 순으로 서양을 찾았다. 2001년 인천공항이 개항하고 제주항공 등 한국형 저비용항공사(LCC)가 설립되고 전 세계적으로 항공 인력 수송량이 급증했다. 코로나19 창궐 직전인 2019년 인천국제공항 연간이용객은 7000만 명을 넘어섰다. 인터넷 발달로 해외 정보 검색도 어느 때보다 쉬워졌다. 그 결과 지금 젊은이들은 한반도 역사상 서양 문물에 가장 익숙한 세대가 됐다.

“포스터를 알아보고 있어요. 포스터는 가장 가성비 좋게 공간의 인상을 바꾸는 소품 같아요.” 이사 예정이라는 1994년생 남성의 말을 듣자 여러 생각이 들었다. 서양 주요 미술관에서는 다양한 포스터를 판다. 포스터 자체가 멋진 시각 디자인이니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충분하다. 다만 나는 멋진 포스터를 볼 때마다 “한국 사람들은 벽에 뭘 잘 걸지 않으니 저 풍조가 한국까지 오지는 않겠지”라고 생각했다. 내가 틀렸다. 지금 서울에는 아트 포스터나 프린트 가게도 많다.

벽시계와 포스터의 공통점이 있다. 가격이 적당하다. 디자인 수준이 높다. 그리고 옮기기 쉽다. 이는 지금 젊은이들의 특징 및 주거 상황과도 잘 맞는다. 해외 경험은 많아졌다. 안목도 높아졌다. 반면 예산은 한정되고 인테리어 자유도는 낮다. 이 변수를 늘어놓고 생각하면 남는 실내장식 소품은 역시 벽시계와 포스터다. 이렇게 원고로 쓰고 말 게 아니라 벽시계와 포스터 가게를 차려야 할까. 가게 이름은 ‘벽을 넘어서’ 같은 걸로.

박찬용 칼럼니스트
#벽시계#포스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