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지의 봄나들이[이준식의 한시 한 수]<109>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5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벼슬하느라 객지를 떠도는 자만이 만물의 변화에 쉬 놀라기 마련.

구름과 노을은 새벽 바다에 피어나고 매화와 버들은 봄 강을 건너고 있다.

따스한 봄기운에 꾀꼬리 울음 잦아지고 맑은 햇살에 부평초는 푸름을 더해간다.

홀연 그대가 읊는 옛 가락 듣노라니 돌아가고픈 마음에 눈물이 옷깃을 적신다.

獨有宦遊人, 偏驚物候新. 독유환유인, 편경물후신.
雲霞出海曙, 梅柳渡江春. 운하출해서, 매류도강춘.
淑氣催黃鳥, 晴光轉綠¤. 숙기최황조, 청광전록빈.
忽聞歌古調, 歸思欲霑襟. 홀문가고조, 귀사욕점금.

-‘진릉 현승 육 아무개의 시 <이른 봄 나들이>에 화답하다’(화진릉육승조춘유망·和晉陵陸丞早春遊望)두심언(杜審言·약 645∼708) 》

친구와 봄나들이 나온 시인에게 강남의 봄 풍광은 경이롭기 그지없다. 바다 위로 번지는 서광에 구름과 노을빛이 찬란하고 매화와 버들은 강안 양쪽에서 시나브로 봄기운을 발산하고 있다. 잦아진 꾀꼬리의 울음도 강 위에 뜬 물풀의 푸름도 화사한 봄빛 세례를 즐기고 있다. 이렇듯 이채로운 강남 풍광은 북방 출신의 시인에겐 덤덤하게 지나칠 수 없는 경이였으리라. 친구가 먼저 경탄을 쏟아내며 시 한 수를 읊조린다. 하지만 옛 가락에 실린 친구의 노래는 그예 봄 풍광에 심취한 시인의 눈물샘을 건드리고 만다. 경탄이 슬픔으로 급전직하하면서 시인은 문득 어디로 돌아가고픈 생각을 했을까. 객지 풍광에 고향이 떠올랐거나 지방 관리로서 장안 조정으로의 귀환을 염원했을지도 모른다.

두심언은 손자 두보의 시명 덕에 유명세를 타기도 하지만 그 자신 역시 당대 5·7언 율시의 토대를 다졌다는 찬사를 얻을 만큼 시재가 특출했다. 미관말직으로 20년 가까이 지방관을 전전하다 무측천(武則天)의 인정을 받아 조정으로 복귀했다. 두보가 ‘시는 우리 집안의 사업’이라고 자부한 근거이기도 하다. 아쉽게도 두심언에게는 기질이 오만하고 경박하다는 일화가 여럿 뒤따른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객지#봄나들이#강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