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가 부강하면 어찌 오랑캐가 협박을…” 박규수의 울분[박훈 한일 역사의 갈림길]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6월 25일 03시 00분


1875년 강화도 앞바다에 나타난 일본 군함 운요호 1875년 9월 강화도 앞바다를 불법으로 침입한 일본 군함 운요호의 모습. 운요호는 이때 조선 수군의 방어적 공격을 유발한 뒤 이에 대한 보복으로 함포 공격을 가해 강화도조약을 체결하는 역할을 했다.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1875년 강화도 앞바다에 나타난 일본 군함 운요호 1875년 9월 강화도 앞바다를 불법으로 침입한 일본 군함 운요호의 모습. 운요호는 이때 조선 수군의 방어적 공격을 유발한 뒤 이에 대한 보복으로 함포 공격을 가해 강화도조약을 체결하는 역할을 했다.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임진왜란 이후의 통신사 파견을 들어 당시 한일관계를 친선외교라고 높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파견 횟수를 보면 대략 20년 만에 한 번밖에 안 된다. 가뭄에 콩 나듯 간 것이다. 게다가 마지막 통신사는 에도(도쿄)까지 가지 않고 쓰시마에서 대충 ‘때웠다’(1811년). 에도까지 간 통신사는 1763년이 마지막이었다. 이때부터 메이지유신(1868년)까지 한 세기가 넘는 동안 제대로 된 외교는 없었다. 이웃나라끼리 참 드문 일이다. 이러니 이 시기 한일관계는 친선관계라기보다는 ‘무관계’였다는 것이 실상에 가까울 것이다.》

현상변경을 시도한 것은 도쿠가와 막부였다. 그때까지 조선외교는 중앙정부인 막부가 아니라 쓰시마번이 담당해왔다. 그런데 개항을 단행한 막부는 1860년대 들어 조선외교를 직접 하려고 시도했다. 막부 멸망으로 이 시도는 무산되었지만 메이지정부는 이를 이어받았다. 하지만 메이지유신에서 강화도조약(1876년)까지는 무려 8년이 걸렸다. 무슨 곡절이 있었던 걸까.

외교문서 하나로 들끓은 韓日

일본은 유신으로 신정부가 수립되었다는 서계(書契·외교문서)를 보내왔다. 그런데 그 안에 중국 황제만이 쓸 수 있다고 여겨졌던 ‘황(皇)’, ‘칙(勅)’ 같은 문자가 있는 것을 보고 조선은 수령을 거부했다. 일본 쪽 사정도 복잡했다. 먼저 중앙정부의 외무성과 쓰시마번의 알력이다. 조선무역으로 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쓰시마번은 거대한 보상이 없는 한 조선 외교권을 뺏기지 않으려 했다. 번 당국이 소극적일 때에는 부산 왜관에 있는 쓰시마 상인들이 당국에 압력을 가했다. 조선은 쓰시마 편이었다. 조선과 쓰시마의 저항에 일본 외무성은 곤경에 처했다. ‘정한론’ 여론도 큰 변수였다. 정한론 하면 1873년 사이고 다카모리가 주도한 정한론 정변이 유명하지만 사실 유신발발 때부터 있어왔다. 유신 3걸 중 하나라는 기도 다카요시(木戶孝允)도 정한론을 주장했고 정부 핵심 중 한 명이었던 에토 신페이(江藤新平)는 정한을 부르짖으며 사무라이 반란을 일으켰다(사가의 난).

이런 분위기에서 조선 정부가 연이어 서계를 거부하자 일본 여론은 ‘조선에 모욕당했다’며 들끓었다. 그 최고 정점이 위에서 언급한 정한론 정변이다. 정부 실권자였던 오쿠보 도시미치는 포함 외교로 위협해 조선을 협상장으로 끌어내는 데에는 동의했지만, 전면 전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사이고의 정한론은 안 된다며 이를 분쇄했다. 전쟁의 명분이 없고, 일본 국력이 모자라고, 외국의 간섭이 예상되었기 때문이었다. 이 무렵 조선에서도 쇄국정책을 펴던 대원군이 실각하고 개항에 전향적이던 민씨 세력이 집권했다. 양국에 외교 온건파 정권이 동시에 성립되어 대원군의 쇄국론과 사이고의 정한론이 정면충돌하는 일은 면했다(1874년). 2년 후 체결된 강화도조약은 크게 봐서 이런 정치구도의 산물이다.

16일만에 굴욕의 강화도조약

일본 의회도서관에 보관돼 있는 일본 시각에서 기록한 운요호 사건의 모습.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일본 의회도서관에 보관돼 있는 일본 시각에서 기록한 운요호 사건의 모습.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정한론이 좌절되자 옛 사무라이들은 폭발 직전이었다. 이를 달래려고 일본은 1874년 4월 조선 대신 타이완을 침략했다. 일본의 군사 도발에 조선은 민감하게 반응했다. 청나라도 조선에 수교를 권했다. 1874년 9월 이후 마침내 양국 외교관들이 몇 차례 마주 앉았다. 그러나 서계 문제 등에 합의를 보지 못하고 회담은 끝내 무산되었다. 회담 결렬 소식에 일본은 포함 외교 카드를 꺼내들었다. 1875년 4월 부산에 군함 운요호를 파견하여 무력시위를 개시했다. 전쟁이 날 수 있는 급박한 상황이었다. 그래도 조정 대신들은 여전히 일본과의 협상을 반대했다. 이때 나선 건 박규수였다.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옮기면 그는 어전회의에서 “일본인들의 국서에 참람하고 망령된 칭호가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지만, 예의와 겸손을 저 섬 오랑캐에게 요구하기는 어려운 일인 듯합니다. 그 나라에서 황제라고 칭한 것은 주나라 평왕(平王) 시대부터로 이미 수천 년이 되었습니다. (중략) 이는 오직 주상께서 어떻게 포용하시느냐에 달려 있을 뿐입니다. 저 사람들이 국제(國制)를 변경하여 수교를 하자고 했는데 지금까지 거부당해 왔으니, 분명히 한스럽게 여기는 바가 있을 것입니다. 이러다 문제를 일으킬 구실이 될까 매우 염려스럽습니다”라고 진언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지는 않았지만 오랫동안 ‘황(皇)’자를 써온 일본 내부 사정을 이해하고, 또 8년 동안이나 수교 요구를 거절당한 일본 측 심중도 헤아리자는 것이다. 지금 같으면 당장 ‘친일파’로 몰릴 것이다. 많은 대신들은 박규수를 비난했다. 그는 그들에게 되묻는다. “삼천리 강토에서 안으로는 정치를 잘하고 밖으로는 오랑캐를 물리칠 방도를 다하여 나라와 군대가 부강했더라면, 작은 섬나라가 어찌 감히 와서 우리를 엿보고 방자하게 협박하는 것이 이 지경에 이르렀겠습니까!” 그러나 이번에도 이런 목소리는 채택되지 않았고, 기회를 엿보던 일본에 ‘방자하게 협박’할 구실을 줘버렸다. 운요호가 이번에는 인천 앞바다에 나타난 것이다. 그토록 오랫동안 수교를 거부해왔건만 조약은 겨우 16일 만에 날림으로 조인되었다. 8년 동안 반대해왔던 사람들 중 변변히 저항한 이도 없었다. 그렇게 결사반대해왔다면 무슨 자기설명이 있어야 하는 게 아닐까. 어차피 아무 생각 없이 무책임하게 반대만 해왔던 거다.

외교의 뒷배는 自强


외교에서 상대 국가를 한 덩어리로 인식하면 안 된다. 상대 내부에도 여러 가지 다른 의견이 있고 다양한 정치세력이 갈려 있다. 우리 내부를 돌이켜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당시의 일본이나 지금의 일본도 마찬가지다. 당시의 일본이라고 모두가 한 덩어리가 되어 처음부터 조선침략을 시도한 것은 아니다. 침략도 그럴만한 힘이 있어야 하고 힘이 된다 하더라도 그게 자기들 국익에 도움이 돼야 감행하는 것이다. 메이지유신부터 한국 병합까지 42년 동안 일본의 대한정책은 병합을 예정한 일직선이 아니라, 뭐가 어떻게 될지 모르는 구불구불한 것이었다. 그 길의 모양은 일본 내부의 노선갈등과 국제정세에 따라 휘어졌다, 구부러졌다를 반복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조선이 얼마나 역량을 갖추느냐였다. 조선을 통째로 삼켜도 찰과상 정도만 입는다면 누구나 욕심을 낼 것이다. 하지만 “나를 삼킬 테면 삼켜봐라. 다만 너도 앉은뱅이 정도 될 각오는 해라”라면 선뜻 야심을 부리기는 어려울 것이다. 박규수는 개방의 한복판에 조선을 던져, 이를 계기로 그럴 정도의 힘을 기르는 길을 선택했다.

#한일역사#무관계#강화도조약#박규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