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민영 부동산개발업체인 헝다(恒大)그룹이 파산 위기에 내몰리면서 글로벌 금융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부채가 355조 원에 달하는 헝다는 23일부터 수천억 원의 이자를 갚아야 할 처지다. 하지만 유동성 위기로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헝다 파산이 금융위기로 이어지면 중국은 물론, 세계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 이번 위기는 부채와 부동산 거품이 맞물렸다는 점에서 한국도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다.
헝다는 빚을 내 부동산 개발사업을 확장해왔다. 금융권뿐 아니라 개인투자자에게도 최고 연 12%의 고금리로 자금을 조달했다. 이런 방식은 부동산 광풍을 타고 회사를 급성장시켰지만, 정부가 거품을 빼겠다며 대출 규제 등에 나서자 몰락을 불러왔다. 집값 상승이 언제까지 지속될 수는 없다는 점에서 헝다 위기는 예고됐다고 봐야 한다.
헝다는 아시아에서 고수익 고위험 채권을 대거 발행했다. 이 채권을 사들인 금융기관이 피해를 입어 다른 기업들의 대출 회수에 나서면, 자금 경색과 연쇄 도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중국판 리먼사태’ 우려 때문에 지난주 글로벌 증시는 가파른 하락세를 보였다. 국내 투자자들이 올 들어 중국과 홍콩 증시에서 거래한 규모는 18조 원을 웃돈다. 국내 금융기관뿐 아니라 투자자들도 중국발 금융위기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
중국 정부는 과거와 달리 거대 기업도 퇴출할 수 있다는 분위기다. 거품을 빼기 위해 ‘질서 있는 퇴장’에 나섰다고 한다. 헝다와 유사한 사태가 얼마든지 재연될 수 있는 셈이다. 이런 변화를 염두에 두고 대(對)중국 전략을 짜야 한다.
중국은 국내총생산(GDP)의 29%를 부동산 분야가 담당하고 있다. 개인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이는 한국도 크게 다르지 않다. 중국 금융위기 가능성을 면밀히 살피면서, 부동산 거품 부작용에 대해서도 미리 대응해야 한다. 헝다 사태를 강 건너 불구경하듯 지켜보기에는 중국 의존도가 너무 높고 부동산을 둘러싼 환경도 지나치게 닮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