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를 향한 노래[이준식의 한시 한 수]<128>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0월 1일 03시 00분


내 마침 백발을 한탄하고 있자니, 젊은 아내도 덩달아 수심에 잠긴다.

겨울옷 등불 아래서 손질하는 사이, 어린 딸은 침상머리에서 놀고 있다.

오래된 병풍과 휘장은 어두컴컴하고, 썰렁한 베개와 자리가 처량하긴 해도.

가난에도 등급이 있는 법, 그래도 궁핍한 검루(黔婁)에게 시집가는 것보단 낫지.

(白髮方興嘆, 靑娥亦伴愁. 寒衣補燈下, 小女戱床頭. 闇澹屛幃故, 凄凉枕席秋. 貧中有等級, 猶勝嫁黔婁.)

백발방흥탄, 청아역반수. 한의보등하, 소녀희상두. 암담병위고, 처량침석추. 빈중유등급, 유승가검루.

-‘아내에게(증내자·贈內子)’ 백거이(白居易·772~846)


관료 생활의 부침을 겪긴 했어도 백거이가 가난에 시달린 흔적은 없다. ‘속세로 나온 듯, 초야에 묻힌 듯, 바쁘지도 또 한가하지도 않은’ 중용(中庸)의 삶을 표방했고, 연말이면 양식이 남아도는 게 부끄럽다고 할 정도의 여유까지 부렸으니 말이다. 안빈낙도의 화신처럼 전해지는 전국시대 검루와 비교한 발상 자체가 외려 생경하다. 정쟁에 말려 남쪽 강주(江州)로 좌천된 후 의기소침해진 아내를 애써 위로하려 농담처럼 건넨 말인지도 모르겠다. ‘어두컴컴하고 처량한’ 집안 풍경을 그렸지만 조바심이나 불평의 낌새는 없다. 가난에도 등급이 있다는 과장된 변명은 스스로를 다독이는 위안의 목소리 같기도 하다.

개성만큼이나 아내를 대하는 시인들의 태도도 판이했다. 이백은 ‘삼백육십일, 날마다 진창 취해 있으니. 이백의 마누라라 한들 태상(太常)의 아내와 무엇이 다르랴’라 하여 주호(酒豪)다운 패기를 과시했다. 멀리 떨어진 아내에게 두보는 ‘그리움에 시름겨운 견우와 직녀라도, 가을이면 그래도 은하수 건너 만나는데’라 하여 애틋함을 감추지 않았다. 원진(元¤)은 스물일곱에 요절한 아내를 추모하면서 ‘바삐 꽃 무더기를 지나치며 거들떠보지도 않는 건, 절반은 내 수양 탓, 절반은 그대 때문’이라 하여 순애보의 진면목을 보여주었다.

#아내에게#아내를 향한 노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