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 히로부미보다 앞서 조선에 깊이 간여한 이노우에 가오루”[박훈 한일 역사의 갈림길]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0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영국 런던에서 유학한 일본 조슈번의 청년 5명은 서양의 선진문물을 접한 뒤 개국파로 변신했다. 뒷줄 오른쪽은 이토 히로부미, 앞줄 왼쪽이 이노우에 가오루.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영국 런던에서 유학한 일본 조슈번의 청년 5명은 서양의 선진문물을 접한 뒤 개국파로 변신했다. 뒷줄 오른쪽은 이토 히로부미, 앞줄 왼쪽이 이노우에 가오루.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우리는 흔히 한일 근대사에 관련된 일본 정치인 하면 이토 히로부미를 떠올린다. 그러나 사실 그보다 더 오랫동안 한국 문제에 간여한 사람은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1836∼1915)라는 인물이다. 막부 타도에 앞장섰던 조슈번 출신으로 메이지유신의 원훈 중 한 명이다. 이토 히로부미보다 다섯 살 위였지만 그의 고향 친구이자 정치적 맹우(盟友)였다. 이토 히로부미가 정적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에 맞서 대내적으로는 개명노선, 대외적으로는 온건외교를 펼칠 때 이노우에는 항상 그의 편이었다. 외무대신, 농상무대신, 내무대신, 재무대신을 역임했으니 총리 빼놓고는 다 해본 실력자다.》

이노우에는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때 전권대사 구로다 기요타카(黑田淸隆)와 함께 부전권대사로 파견되어 조선과 인연을 맺었다. 조약 체결 후 미국과 유럽에서 2년간 공부했다. 그 전에도 이미 20대 시절인 1863년 이토 히로부미와 영국에 유학한 적이 있었으니, 메이지 정부 최고의 서양통이라 할 만하다.

청나라와 전쟁 경계한 日

그가 조선 문제에 본격적으로 간여하기 시작한 것은 임오군란 때부터다. 당시 그는 외무대신이었다. 구식군대의 불만으로 터진 내란에서 일본공사관이 불타고 일본인들이 살해당했다. 일본 여론은 민씨 세력과 대원군의 권력투쟁에 애꿎은 일본인들이 희생됐다며 분노했다. 당시 일본에 유학 중이던 유길준과 윤치호는 태정대신 산조 사네토미(三條實美)에게 “청국이 이 기회에 대원군을 문죄한다는 명분으로 출병하고 조선인이 그 지휘를 받으면 조선은 독립을 다시는 도모할 수 없으며 조선의 모든 권리가 청인의 수중에 들어가게 됩니다”라며 일본 병력을 빌려 줄 것을 요청했다(김흥수, ‘임오군란 시기 유길준·윤치호 연명상서’).

일본 정부는 이를 거절하고 청보다 먼저 서울에 입성하기 위해 직접 병력을 파견했다. 자칫하면 동시 파병한 청과 개전할 가능성도 있었다. 이노우에는 이를 우려했다. 그가 주도한 정부회의는 “아직 개전한 게 아니므로 폭도를 만나더라도 전투를 피하고 방어에만 힘쓴다”는 방침을 정했다. 그래도 불안했던지 이노우에는 군부에 내훈(內訓)을 보내 “육해군은 공사(公使)의 중대한 사명을 완수하기 위해 수행하는 것으로, 평화를 위한 출동이지 전쟁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평온하게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고 조선에 체류할 때에도 현지인에게 난폭한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고 못을 쳐두었다. 이참에 일본의 힘을 빌려 대원군, 나아가 민씨 세력을 소탕하려 했던 김옥균은 이런 뜨뜻미지근한 조치에 이노우에와 하나부사 공사를 ‘2인조 악당’이라며 분개해했다(김흥수·위의 논문).

日에 ‘저자세’ 보인 조선


1882년 임오군란으로 일본공사관이 공격당하자 하나부사 요시모토 공사를 비롯한 공관원들이 인천으로 탈출해 귀국하는 모습을 그린 일본의 보도판화. 당시 외무대신이던 이노우에 가오루는 이때부터 조선 문제에 본격적으로 간여한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1882년 임오군란으로 일본공사관이 공격당하자 하나부사 요시모토 공사를 비롯한 공관원들이 인천으로 탈출해 귀국하는 모습을 그린 일본의 보도판화. 당시 외무대신이던 이노우에 가오루는 이때부터 조선 문제에 본격적으로 간여한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임오군란이 수습된 지 얼마 안 있어 이번에는 갑신정변이 발발했다. 김옥균의 개화당 쿠데타에 일본군 병력이 가세했으니 일본으로서는 임오군란보다 훨씬 심각한 사태였다. 일본정부는 현직 외무대신인 이노우에를 파견했다. 외무대신을 직접 보낼 정도로 사태를 엄중하게 여기고 있었다. 인천항에 도착한 이노우에에게 서울의 상황이 보고되었다. 일본 측 인원 2명이 불탄 일본 병영을 조사하고 있는데, 돈의문(서대문)을 지키던 청국 병사가 이를 제지하면서 총 한 발을 쏘는 등 상황은 일촉즉발이었다.

이노우에는 조선 정부에 자신의 신변보장을 요구하며 제물포를 출발해 입경했다. 1885년 1월 4일, 그의 숙소에 통리아문독판(외무장관 격) 조병호가 예방했다. 조병호는 “원래 일본 정부와 우리 정부 사이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러니 앞으로도 양국 관계는 어떤 지장도 없을 것입니다”라고 했다. 갑신정변 과정에서 일본 민간인 수십 명이 죽고 공사관이 불탔으니 일본의 보복이 두렵기도 했겠지만, 조선 정부 입장에서 보면 갑신정변은 쿠데타에 일본이 개입한 것인데도 첫 만남에서 이미 ‘좋게, 좋게’ 매듭지으려는 저자세가 느껴진다. 이노우에는 이를 놓치지 않고 “설령 오랜 우호국이라 하더라도 한 번 일이 틀어져 양국이 전쟁에 이르는 것은 자고로 예가 적지 않은 일”이라며 위협해 두는 걸 잊지 않았다.

이노우에에게 호통친 김병시


마침내 1월 6일 이노우에는 창덕궁 낙선재에서 고종을 알현한다. 이 알현 장면도 긴장감이 가득하다(‘근대한국외교문서’ 9권). 이노우에 발언을 일본 측 통역관이 고종 옆에서 직접 아뢰자 사대당의 김병시(金炳始)가 무엄한 일이라며 제지했다. 공식적인 접견의례가 끝나고 이노우에가 상주할 게 있으니 좌우를 물리쳐 달라고 했다. 그러자 다시 김병시가 대신들은 물러나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고종이 대신은 잔류케 하는 게 좋겠다고 하자, 이노우에가 누가 대신이냐고 물었다. 고종이 영의정 심순택 등을 가리키자, 이번에는 대신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했다. 고종이 미처 답하기 전에 김병시가 “대신의 이름을 알고 싶으면 물러난 후에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면 될 것을, 어찌 무례하게 이처럼 직접 여쭙는가!” 하고 크게 꾸짖었다. 이노우에가 아랑곳하지 않고 담판은 왕이 직접 하실 것인가 아니면 전권을 임명할 것인가 하고 묻자, 고종은 전권이 할 것이라고 했다. 이노우에는 재차 전권은 누구로 삼을 것인지 물었다. 그러자 이번에도 김병시가 “이리도 강압적으로 여쭙다니 어찌 이리 무례한가!” 하고 막아섰다. 나중에 고종은 김병시에게 그때 기분이 아주 좋았다며 청에서도 ‘조선에는 김병시가 있다’고 했다더라는 말까지 하며 그를 추켜세웠다.

이노우에의 오만과 김병시의 기개를 엿볼 수 있는 일화지만, 다음 날부터 전권대신 김홍집과 이노우에 사이에서 진행된 회담은 외교가 기개만 갖고 되는 게 아님을 아프게 보여줬다. 이노우에는 시종 전쟁 발발 가능성을 내보이며 김홍집을 압박했다. 그 결과 맺어진 것이 우리가 시험 보려고 외우던 한성조약이다. 그러나 당시 일본은 전쟁할 형편이 못 되었고, 위에서 본 대로 이노우에 자신도 전쟁이 나지 않도록 극도로 주의하고 있었다. 게다가 두 사람이 회담장에서 처음 마주 앉은 바로 그날(1월 7일), 청의 이홍장은 도쿄 주재 청국 공사에게 일본 정부에 충돌을 원치 않음을 알리라고 통보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을 알고 있었더라면 이노우에의 공세를 좀 더 잘 방어할 수 있었을 것이다. 외교는 기개보다는 정보와 판단력이다. 여담이지만, 10년 후 갑오개혁 때 이노우에는 다시 조선에 와서 김홍집을 내각총리대신의 자리에 밀어 올렸다. 갑오내각의 붕괴와 함께 김홍집은 서울 시내에서 군중에게 맞아죽었다. 이 두 사람도 기연이라면 기연이겠다.

#이노우에 가오루#임오군란#한국 문제 간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