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제 열린 첫 대선 후보 4자 TV토론 시청률 합계가 39%를 기록했다. TV토론이 처음 실시된 1997년 15대 대선의 55%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높다. 시청률에 잡히지 않는 지상파 3사의 유튜브 채널 조회수도 300만을 훌쩍 넘었다. 다른 온라인 채널을 통해 본 시청자들도 적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대선 후보의 역량과 도덕성, 정책 등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이 과거 어느 대선보다 큰 셈이다.
32일 남은 대선까지 법정(法定) TV토론은 이달 21일과 25일, 다음 달 2일 등 3차례 예정돼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심상정 정의당 후보 등 4명이 정치 경제 사회 등 주제별로 토론한다. 한국기자협회도 이르면 이달 8일 한 차례 비법정 토론을 열기로 했다. 대통령 탄핵이라는 혼돈 속에서 치러진 5년 전 19대 대선에서도 총 6차례의 TV토론이 열렸던 점을 고려하면, 그제 토론까지 포함해서 5차례의 토론으로는 부족함이 많다.
그제 진행된 첫 TV토론은 시간제한, 토론 방식의 한계 등으로 심층적인 상호 검증에서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질의응답이 오가다 뚝 끊어지거나 본론으로 이어지지 못한 사례도 적지 않았다. 이 후보가 제시한 311만 주택 공급 공약을 놓고 구체적인 로드맵에 대한 검증 토론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이나 윤 후보의 청년원가주택 30만 호 공급 공약의 현실성에 대한 추가 토론이 흐지부지 끝난 것 등이 그런 예다.
TV토론은 유권자가 후보들의 자질과 정책을 비교할 수 있는 기회다. 후보에게도 가장 유용한 선거 운동 중 하나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으로 후보들이 유권자를 직접 만나 자신을 알릴 기회가 차단되면서 TV토론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졌다. 유권자의 30% 이상, 부동층의 과반이 TV토론을 보고 대선 후보를 결정하려 한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감안할 필요가 있다.
남은 기간 토론 횟수를 최대한 늘리는 동시에, 토론 방식도 양자나 다자 등으로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이 후보와 윤 후보는 지난달 말 양자 토론을 추진하다가 무산되자 서로 상대방에게 책임을 떠넘긴 적이 있다. 이런 모습이 다시 되풀이돼선 안 된다. 후보자 간 상호 검증에 대한 유권자들의 갈증을 뻔히 보면서도 눈앞의 유불리만을 따져 이를 외면한다면, 정치 지도자로서 자격이 없는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