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 주중 한국대사와 김상조 전 대통령정책실장이 2019년 4월 환매 중단 사태로 대규모 피해를 낸 디스커버리 펀드에 60억여 원과 4억여 원을 각각 투자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펀드는 장 대사의 동생인 장하원 씨가 자산운용사의 대표를 맡고 있어 ‘장하성 동생 펀드’로 통했다. 그제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가 장 대표를 소환 조사하는 과정에서 현 정부 실세들의 투자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2017년 4월부터 2년 동안 IBK기업은행 등 시중은행과 증권사를 통해 판매된 사모펀드다. 판매사들은 미국 운용사가 채권에 투자해 수익을 내는 구조여서 안전하다고 홍보해 거액의 자금을 모았다. 하지만 미국 운용사가 자산가치 등을 허위 보고한 혐의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고발되면서 자산이 동결됐고 한국 투자자들의 환매도 중단됐다. 이 ‘사기성 펀드’에서 생긴 피해 규모는 2562억 원에 이른다.
장 대사의 펀드 연루 의혹은 환매 중단 직후 불거졌다. 신생 운용사의 펀드를 국책은행이 판매해 설정액이 급증하는 과정을 이해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번에 장 대사와 김 전 실장의 펀드 가입 사실이 드러나면서 이들의 손실을 보전해주는 등의 특혜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나오고 있다.
장 대사와 김 전 실장은 9일 법 위반 사실이 없다고 해명한 데 이어 어제 다시 ‘환매를 신청하거나 환매금을 받은 사실이 없다’는 입장문을 냈다. 그럼에도 만기 때까지 돈이 묶이는 일반인과 달리 이들이 입출금이 자유로운 개방형으로 가입한 점 때문에 의혹은 가시지 않고 있다.
이들이 환매 중단 정보를 먼저 알았는지, 펀드 성장 과정상 비호나 특혜는 없었는지가 관건이지만 2년 10개월 동안 해답은 수면 아래 있다. 무엇보다 정권 실세들이 펀드에 투자한 뒤 지금까지 무슨 일이 있었는지 전모를 밝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 사태는 단지 펀드 불완전판매에 그치지 않고 정권의 도덕성 문제로 비화할 것이다.
댓글 11
추천 많은 댓글
2022-02-11 07:43:04
공직에 힘으로 IBK 외압을 넣어 동생 재벌 만들어 줄렸다가 쫄딱 망한 금융사기다. 입으로 공정을 외치며 손으론 66억 몽땅 빼가는 불공정 야바위꾼들. 악당들이 개소리와 검은 양심이 국정의 철학이 된 문정권은 정의에 칼을 받아라.
2022-02-11 08:27:26
낯짝 두껍고 뻔뻔한 빨갱이 똘마니 Shaky들, 돈 냄새가 나는데, 빨갱이들이 빠질 수 없지.. 앞에서는 정의, 뒤에선 돈만 보면 환장해서 눈깔이 뒤집어져, 펀드에 담궈놓고 협박하고, 독립유공자 후손 학비로 맛사지나 받고, 할머니들 앵벌이 시켜 삥뜯고, 문천지교도들..
2022-02-11 08:47:47
장하성/김상조 전청와대 정책실잘! 두 사람 모두 실히 전문가들이란 자들이 청와대 중책을 맡고 있으면서,펀드에 투자나 했었다는 결론이 아닌가? 고위 공직자들이 이 짓거리 못하게 하고 있을 터인데도 이들은 온갖 못된 짓거리들!모두 구속 수감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