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7일 청와대는 김영식 신임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 지명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전임 민정수석이 아들의 입사지원서 논란으로 사퇴하자 전임 법무비서관을 9개월 만에 다시 청와대로 부른 것이다.
이를 두고 법원 내부에선 김 민정수석이 대선 전에 청와대가 관리해야 하는 재판이나 2월 법원 정기 인사에 개입하려는 거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판사 출신의 김 민정수석은 2019년 2월 법원을 그만둔 지 석 달 만에 청와대로 갈 당시부터 논란의 중심에 섰다. 그는 김명수 대법원장과 함께 진보 성향 법관 모임인 ‘우리법연구회’와 그 후신인 ‘국제인권법연구회’ 출신이었다. 양승태 전 대법원장 시절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과 관련해 진상조사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그만큼 청와대와 대법원 간 가교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이번 인사 발표에서도 어김없이 현 정부에서 자주 사용된 표현인 ‘국정철학 이해도’가 등장했다. 국정철학 이해도가 높다는 뜻은 결국 ‘코드 인사’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문제는 행정부를 견제해야 할 사법부의 영역에서도 코드 인사가 만연하게 됐다는 점이다.
김 대법원장은 우리법연구회와 국제인권법연구회 출신 판사들을 중용하고,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과 관련해 전임 대법원장 시절에 중용됐던 판사들을 ‘적폐’로 몰아세우면서 법원 내 편 가르기를 심화시켰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기존 인사제도에 따라 엘리트 경력을 충실히 밟았던 이들은 상당수가 전임 대법원장 시절 중용됐거나 김 대법원장과 같은 모임 출신이 아니라는 이유로 요직에서 배제됐다. 이달 법원 인사에서 대법원 재판연구관 5명과 고법 판사 13명 등 중견 엘리트 판사들이 퇴직을 신청한 것도 이 같은 요인들이 중첩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검찰도 상황이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검찰총장이던 2019년 8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 수사를 시작한 이후 윤 후보와 가까운 검사들은 인사에서 연거푸 물을 먹기 시작했고 친정부 성향 검사들은 잇따라 요직을 차지했다. 청와대의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 등 여러 수사를 놓고 이성윤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이 결재를 미루면서 윤 총장에게 각을 세운 것도 혼선을 부추겼다.
지난해 4월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검찰총장 인선 기준에 대해 국정철학과의 상관성을 언급해 논란이 됐다. 누구보다 공정해야 할 총장도 코드 인사의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고백으로 들렸다.
대통령의 철학과 국정과제를 정확히 이해하는 인물이 청와대나 정부 부처에 중용되는 것은 어느 정도 필요하다. 하지만 정치적 중립성이 요구되는 법원과 검찰 등 형사사법기관에는 이를 요구해선 안 된다. 그럴수록 수사와 재판의 공정성이 훼손되고 형사사법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커진다는 점을 이번 3·9대선에 출마한 후보들도 잊지 말아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