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인사이트]“北, 화성17 실패 숨기려 기만술… 한미 혼란 노린 역공작일수도”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4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北 지난달 발사 ICBM 진실은?
軍 “24일 발사 17형 아니다”
일각 “실체 위장하려는 의도”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북한이 지난달 24일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실체를 둘러싼 미스터리가 증폭되고 있다.

북한이 발사 다음 날(3월 25일) ‘화성-17형’ 시험 발사가 성공했다면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시험 발사 사진과 영상까지 공개했지만 우리 군은 화성-15형을 쏜 뒤 ‘눈속임’을 한 것으로 사실상 결론을 내린 상태다.

이를 두고 화성-17형의 발사 실패를 숨기려는 ‘기만술’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한편으로 한미 정보당국에 혼선을 주기 위한 고도의 ‘역공작’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과연 북한이 쏜 것은 화성-17형일까, 화성-15형일까.》

○ 軍 “화성-17형 실패를 15형으로 위장 만회”


북한이 3월 24일 발사한 ICBM은 역대 최대 고도(6248km)와 최장 비행시간(67분)을 기록했다. 비행 제원만 놓고 보면 2017년 11월에 쏜 화성-15형을 능가하는 역대 최강의 신형 ICBM으로 볼 여지가 충분하다.

북한은 이를 화성-17형이라고 발표했지만 군은 ‘거짓’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한미 정보자산에 포착된 비행 데이터와 관련 정황을 정밀 분석한 결과 화성-15형으로 평가됐고, 미국도 이에 동의했다는 것이다. 지난달 29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선 상승 가속도와 연소 및 단(段) 분리 시간 등 비행 특성이 화성-15형과 유사하다는 구체적인 근거도 적시했다. 발사 전후 화성-15형이 유력한 신호정보(SIGINT·시긴트)도 한미 정보자산에 포착됐다고 한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과 영상은 맑은 날씨이지만 발사 당일 순안 대부분 지역은 흐렸고, 영상 속 김 위원장의 그림자 방향이 실제 발사 시간과 다른 점 등도 ‘눈속임’의 증거라고 군은 분석했다. 발사 당일이 아닌 과거 시험 발사 장면을 ‘짜깁기’한 것이라는 얘기다.

군 소식통은 “110주년을 맞는 김일성 생일(4월 15일)의 ‘축포’로 화성-17형을 활용하려다가 계획이 틀어지자 김 위원장 주도로 ‘위장극’을 펼친 것”이라고 말했다. 군은 북한이 2월 27일과 3월 5일 정찰위성 개발 시험이라면서 ‘우주발사체’로 가장해 쏜 미사일과 3월 16일 발사 직후 20km 이하 고도에서 공중 폭발한 미사일을 모두 화성-17형으로 보고 있다. 특히 2월 27일과 3월 5일 비행거리를 확 줄여서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처럼 보이도록 발사한 것은 차후 화성-17형의 기습 발사 충격을 극대화하려는 의도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3월 16일 발사가 실패하자 8일 뒤 화성-15형을 쏘고서 화성-17형으로 속였다는 게 군의 판단이다. 화성-17형이 공중 폭발해 파편이 비처럼 쏟아진 모습을 평양 주민들이 목격한 상황에서 최단 시간 내 ‘발사 성공’을 선전하고, 한미 등 국제사회에 ICBM 고도화를 과시하려는 이유에서 위장극을 벌였다는 것이다.

북한이 2017년 11월처럼 이번에도 고각(高角) 발사한 점에서 재진입 기술은 여전히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핵탄두가 실린 ICBM의 재진입체(RV)는 대기권 재진입 시 최대 음속의 20배, 섭씨 1만 도의 마찰열과 충격을 견뎌야 한다. 군 당국자는 “화성-15형이든 17형이든, 단탄두이든 다탄두이든 간에 재진입 기술을 갖추지 않고선 사실상 ICBM으로서 효용 가치가 없다”고 말했다.

○ 과거에도 北 ‘미사일 기만술’ 논란

북한의 ‘미사일 기만 의혹’이 불거진 것은 처음이 아니다. 2019년 7월 31일 강원도 원산에서 동해로 2발의 발사체를 쐈을 때 군은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인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로 평가했다. 하지만 다음 날 북한 매체가 김 위원장 참관하에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를 시험 발사했다면서 관련 사진과 영상을 공개하자 군 정보력 부재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하지만 군은 초기 비행 속도와 궤적 등 비행 특성을 볼 때 KN-23이 거의 확실하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일각에선 북한이 한미 군 당국에 혼선을 주기 위해 사진 합성 등 기만전술을 폈다는 주장이 나왔다.

우리 군의 평가를 ‘간보기’ 하면서 성능을 속이는 수법도 동원됐다. 북한이 올 1월 5일 자강도에서 극초음속미사일 ‘화성-8형’을 쏘자 군은 “속도가 낮고 제 역할도 못 했다”면서 일반적 탄도미사일이라고 했다. 러시아, 중국의 극초음속미사일엔 한참 못 미친다는 평가였다. 하지만 불과 엿새 뒤 마하 10(음속의 10배) 이상으로 발사에 성공해 군이 오판을 한 것이라는 지적이 쏟아졌다.

또 2012년 12월 평안북도 동창리에서 장거리로켓 ‘은하 3호’ 도발 때는 발사 전날까지 발사대에서 미사일을 해체하는 정황을 노출해 한미 정보당국을 안심시킨 뒤 다음 날 오전 기습 발사로 허를 찌르기도 했다. 장거리로켓은 ICBM과 기반 기술이 같아 언제든지 ICBM으로 전용이 가능하다. 군 당국자는 “한미가 정찰위성 등 다양한 감시 수단으로 미사일 동향을 항상 추적 중이라는 점을 간파한 북한으로선 필요에 따라 갖은 수단과 방법으로 혼선과 오판을 초래하는 대응 전술을 구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北 ICBM 실체 최대한 검증해야

반면에 단정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북한이 화성-17형을 발사한 뒤 실체를 숨기고 우리 군에 혼란을 주려는 의도일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 화성-15형을 쏘고서 17형으로 속였다는 우리 군의 발표에 북한 당국이 공식 반응을 하지 않은 것도 석연치 않은 대목이다. 군 소식통은 “무엇을 쐈는지 끝까지 숨겨서 한미 군 당국의 분석 능력을 파악하고 차후 도발에 활용하려는 속셈일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 체제 특성상 ‘최고 존엄’인 김 위원장이 참관한 미사일 발사를 조작했을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도 있다. 북한이 20여 년간 축적한 미사일 기술력을 감안할 때 화성-17형 발사에 성공했을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군 연구기관의 한 관계자는 “비행 특성만 갖고서 화성-15형과 17형을 명확히 구별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화성-17형은 15형보다 엔진 기술이 복잡한 데다 발사 실패 8일 만에 원인을 찾아내 재발사에 성공했다고 보기 힘들다는 군의 평가에 대한 반론도 만만찮다. 북한이 실패에 대비해 복수의 개발팀을 경쟁적으로 운용해 여러 기를 제작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화성-15형의 탄두 중량을 줄이는 방식으로 비행 고도와 시간을 늘려서 화성-17형처럼 보이도록 했다는 일각의 주장도 납득하기 힘들다는 의견도 있다. 조광래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는 ICBM의 탄두 중량을 단시일에 고무줄처럼 줄이고 늘리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군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북한 ICBM의 실체에 대한 의구심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만큼 과소·과대평가를 지양하고, 충분한 시간을 들여서 최대한 검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북한#미사일#icbm#진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